조선은 성리학을 기반으로 세워진 나라이고, 사소한 일상에서부터 국가의 대사까지 그 규제를 받지 않을 수 없었다. 특히 여성들의 삶에 가해진 규제는 매우 세세한 데까지 미쳤다. 여성들은 집안의 의·식을 책임지며, 시부모를 모시고, 손님을 접대하고, 제사를 받들고, 아들을 낳아 가문을 이어주는 존재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여성들이 길쌈하고, 집안일을 처리하는 것 이외의 것을 습득하는 것은 득보다 실이 많았다. 특히 여성들이 글을 배우고 시를 짓는 것은 사대부에게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되었다. 사대부들이 저술한 시화집에 극히 적은 양의 여성시에 관한 기사가 존재하는데 이를 통해서 사대부들의 여성문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사대부들은 여성문학을 남성문학과 동등하게 평가하지 않았다. 첫째 문학을 통해서 도를 전파하는 남성의 문학과는 달리 여성의 문학은 단순한 재주의 표출로 인식하였으나 조선후기 여성성리학자들의 등장으로 이러한 편견은 시정되었다. 둘째 교육을 받지 않은 여자들이 시를 짓는 것을 매우 기특하게 여기기는 했으나 그 가치를 인정하지는 않았다. 조선시대 사대부들은 기녀나, 여종들의 한시까지 수집하는 면모를 보여주었으나, 이는 여성이 한문학을 한다는 희소성에 기인한 것으로 문학적 성취와는 거리가 있다. 셋째 중국과 비교할 때 여성의 작품이 많이 남아있지 않은 것을 애석하게 여기기도 하였으나 조선시대 전 시기동안 여성이 글을 짓는 것 자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The Choseon Dynasty was a country founded on Sung Confucianism, and could not help being regulated from trivial routine to a matter of national importance. Especially regulations on women`s life were made to the smallest detail. Women were little more than beings that were responsible for food and clothes of their family, served their parents-in-law, received a guest, performed an ancestral sacrifice, bore a son and inherited the family. It had more losses than gains that women acquired anything besides hand-weaving and managing their family affairs. Especially it was recognized very negative to the gentry that women pursued their studies and composed a poem. There are very few articles on women`s poetry in a collection of illustrated poems written by the gentry, and through these, it is considered recognition of women`s literature. The gentry did not appreciate women`s literature equally to men`s. First, unlike men`s literature propagating teachings through literature, they recognized women`s literature as an simple exhibition of talent. Second, they considered it admirable for uneducated women to compose a poem, but did not appreciate the value. Third, they considered it a pity for little work of women to remain, but had a strong tendency to recognize women`s writing itself neg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