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1
18.97.14.81
close menu
Accredited
「관산융마」의 형식과 주제사상
A Literary form and thematic thought of the 「Gwansanyungma(關山戎馬)」
심경호 ( Kyung Ho Sim )
어문논집 vol. 59 169-193(25pages)
UCI I410-ECN-0102-2012-690-000111898

석북(石北) 신광수(申光洙, 1712-1775)의 「관산융마(關山戎馬)」는 본래 공령시 즉 과시(科詩)이지만, 서도지방의 영시(詠詩) 또는 율창(律唱)이라고도 하는 시창(詩唱)을 통해 널리 국악 애호자들 사이에도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관산융마」와 그 시창은 조선후기의 과시가 정통 문학의 영향을 받으면서 동시에 독자적인 미학을 확보해가는 과정에 발생한 것으로서 문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본고는 「관산융마」의 시어가 나온 출전을 상세히 고찰하여, 「관산융마」가 두보가 57세 때 유랑길에서 지은 오언율시인 「악양루(岳陽樓)」시에 기초하면서, 두보의 「추흥(秋興)」 8수 가운데 제2수와 제4수를 기본적인 정조로 삼았으며, 각 구는 이별의 정한을 담은 구들을 중첩시킴으로써 애상을 고조시키는 방식을 이용했음을 밝혔다. 그런데 바로 그와 같은 애상적 정조의 이면 짜기와 점층적 고조의 방식은 서도창(西道唱)에서 가성과 세성을 엮어가면서 감정을 고조시키는 창법과 교묘하게 조화를 이루어, 이별의 정한, 소외의 감정을 증폭시켜 전달할 수 있었다고 본다.

of Seokbuk(石北) Sin, gwang-su(申光洙, 1712-1775) is poetry about gongryeongsi(功令詩), the state examination`s poetry(科詩) originally. But through singing poetry(詩唱) that say that is youngsi(詠詩) or yulchang(律唱) of nothwestern provinces, is spread between national classical music devotees widely. By the way this and singing poetry(詩唱), as that happen in process that gwasi(科詩)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secures peculiar esthetics receiving orthodoxy literary effect, occupy very important position in literature history. This research investigates source that `s poetic language comes out detailedly, So I found out following truth. was based on TuFu(杜甫)`s poetry with five Chinese characters in each line that was written in wandering when is 57 years old. Among TuFu(杜甫)`s eight poem works, made basic atmosphere by second work and fourth work`s basic sentiment, and each verse reduplicating verses that feeling of separation is, did to elate sorrow. By the way, to piece together two faces and to raise gradational harmonized with Seodochang(西道唱)`s vocalism(唱法). Thereby, do and delivered to amplify emotion of separation and emotion of estrangemen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