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38.169.46
3.138.169.46
close menu
}
KCI 등재 SCOPUS
경피 내시경하 위루술 후 발생한 피하공기증 1예
Case Report : A Case of Subcutaneous Emphysema Following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서광일 ( Gwang Il Seo ) , 이정록 ( Jeong Rok Lee ) , 정우철 ( Woo Chul Chung ) , 옥주현 ( Ju Huyn Oak ) , 김진동 ( Jin Dong Kim ) , 백창렬 ( Chang Nyol Paik ) , 이강문 ( Kang Moon Lee ) , 양진모 ( Jin Mo Yang )
UCI I410-ECN-0102-2012-510-000427209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경피 내시경하 위루술은 위장관 기능이 정상이나 연하곤란이 있는 경우 흔히 시행되고 있는 경장 영양법으로 성공률이 높고 시술에 따른 사망률이 낮다. 그러나 창상감염, 출혈, 소구누출, 영양관 이동 등의 합병증들이 보고되고 있고 심할 경우 흡인폐렴, 장천공, 복막염, 괴사성 근막염 등의 심각하고 치명적인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다. 저자들은 뇌출혈로 좌측 편마비와 연하장애가 있는 환자에서 경피 내시경하 위루술을 시행한 후 혈복강, 복막염 및 광범위한 피하공기증이 병발한 1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합병증 발생 후 위루관을 제거하지 않고 항생제와 보존적인 치료를 통하여 호전되었으며 현재 재활 치료 중이다.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PEG) has widely accepted for providing safe, long-term enteral nutrition for patients with swallowing disabilities. Though safe and technically simple, this procedure is often associated with some complications, such as wound infection, bleeding, stroma leaks and tube transposition. Major complications are rare and these include aspiration pneumonia, perforations, peritonitis and necrotizing fasciitis. We report here on a patient who developed extensive subcutaneous emphysema with hemoperitoneum and peritonitis following PEG. Medical treatment without removal of the PEG led to resolution of the emphysema and the peritonitis and successful PEG feeding.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9;38:266-269)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