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선수들의 경기 시 효율성은 30초 활동과 10초 휴식의 경향이 있어 이전 연구들에서 경기력을 향상을 위해 무산소성 파워의 향상의 필요성이 주장되었다. 그러나 유도선수들의 생리학적 특성과 관련된 이전 연구들에서는 무산소성 파워와 관련된 신체적 조건들의 제시가 미약하여 선수와 지도자들에게 트레이닝계획을 위한 구체적인 자료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고교유도선수들의 신체적 특성과 무산소성파워를 대학선수들과 비교하여 그들이 필요시하는 신체구성과 무산소성파워 요구량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에 한국 남자 대학선수 26명과 고교유도 선수 28명이 참여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2회 반복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였다. 신체구성의 차이결과는 제지방, 근육량, 총수분량, 체지방량 모두 대학선수가 고교선수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5). 무산소성 파워 차이결과는 피크파워와 평균파워 모두 대학선수가 고교선수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5). 피크파워와 제지방, 근육량, 체수분, 체지방의 상관계수 결과 고교선수들은 r=0.14-0.173으로 낮은 관련성을 나타내었으나 대학선수들의 경우 제지방, 근육량, 체수분 모두 유의하게 높은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평균파워와 제지방, 근육량, 체수분, 체지방의 상관계수결과는 고교선수들의 경우 r=0.233-0.236으로 낮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으나, 대학 선수들의 경우 제지방, 근육량, 체수분 모두 r=0.483-0.484로 유의한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체지방은 피크파워와 평균파워 모두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고교선수가 앞으로 대학선수로 성장하기 위한 조건으로 고교선수는 체지방을 유지하면서 제지방, 근육량, 총수분량 등을 상승시킬 수 있는 트레이닝 방법과 영양학적인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In judoists` competitions, work capacity has the tendency of 30 seconds` activity and 10 seconds` interval, and therefore, previous researches maintained the necessity of high anaerobic capacity for enhancing judoists`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demand volume of bodycomposition and anaerobic capacity in high school judoists differ from comparing with university judois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6 university judoists (UJ) athletes, and 28 high school judoists (HSJ) athletes in South Korea. As to difference in body compositions between two groups, UJ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high school judoists in FFM, MM and TBW (p<.05). As to differencein anaerobic capacity between two groups, UJ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HSJ (p<.05). As to the correlations of PP with FFM, MM, TBW and FM, HSJ (intra"]class correlation ranged between r=0.14"]0.173) showed small correlations. However, UJ showed high correlations. As to the correlations of MP with FFM, MM and TBW, HSJ (intra"]class correlation ranged between r=0.233-0.236) showed small correlations. However, UJ showed significantly correlations. But, FM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ions either. As to conditions HSJ to grow into a UJ, HSJ need to maintain FM increase FFM, MM and BTW. Thus, their training methods and alimentological efforts need to consider these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