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8
18.97.14.88
close menu
Candidate
무도수련의 교육적 가치 재발견
The Re-discovery of Educational Meaning on Eastern Martial Arts
이정학 ( Jeong Hak Lee ) , 장성수 ( Seong Soo Chang )
UCI I410-ECN-0102-2012-560-000352552

전통적 동양사회에서 무도는 인간교육의 중요한 수단으로 기능하여왔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동양의 전통무도는 단순한 호신술의 의미로 인식되며 가시적 형태의 術의 의미로 그 가치가 축소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무도에서 보여 지는 화려하고 강력한 몸동작에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됨으로써 발생되는 그릇된 현상으로 이것이 무도의 본질이라고 간주해서는 안된다. 오히려 무도수련에서 강조하는 것은 이러한 외형적 모습보다는 평화, 비폭력, 사랑, 조화, 깨달음과 같은 비가시적 내면적 가치들이다. 이러한 내면적 가치들은 전통적 동양사회에서 인간교육을 위해 무엇보다 강조하는 내용으로 무도의 본질적 의미와 상통하는 것들이다. 즉, 엄밀한 의미에서 무도수련의 목적은 결코 싸움기술, 투쟁, 폭력에 있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 윤리적 가치 추구 및 인격도야에 있는 것이다. 무도에서는 이러한 내면적 가치추구를 위해 修練, 修行, 體得, 體認, 克己, 禮儀, 反省, 省察과 같은 자기수련을 강조한다. 결국 이러한 자기수련을 통해 올바른 인간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무도수련은 매우 중요한 교육적 수단으로 기능하게 된다.

Since some fundamental value problems are found in the martial arts these days, we need to understand the essential factors by examining its philosophical background. Unfortunately, the spirit of traditional eastern martial arts seems to have faded, people reveal but a shallow interest in it because they lack an understanding of its purpose and practice. The eastern martial arts have lost its original profundity. This means that we can hardly find the purity of the eastern martial arts. In order to regain its original intent the eastern martial arts should be re-explored through a training and knowledge of its philosophical background. It actual, the traditional movement forms are practices as art(Tao or way) rather than science. In the East, Tao becomes the supreme morality and essence of all philosophies. The notion of Tao as harmony of opposites is a pervasive feature of eastern philosophy. In this sense, the martial arts have been used for self-perfection and self-determination. The individual conquers himself and his evil desires rather than other people and community. The eastern martial arts, although it developed as a fighting art, attempts to teach morality, humility, and non-viol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