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한국문화 속에 반영되어 있는 효(孝)와 관련된 민속을 세 가지 측면에서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첫 번째는 한국문화의 근간이 되는 불교문화 속에 내재되어 있는 효 문화를 살펴보고 있다. 불교 속에서 효는 만물의 생성원리와 같이 하늘과 땅에 비유될 정도로 지대하게 여겨진다. 즉 불교적인 사고관에서 보면 효가 생성되는 부모와 자식 사이의 인연은 정말로 엄청난 인연이요, 과거는 물론이고 현재와 미래가 촘촘하게 엮어져 있는 인연인 셈이다. 그러므로 부모에게 효성을 다 하는 것은 전생에서 받았던 은혜를 갚는 것이기도 하면서 앞으로 경험하게 될 내세에서도 좋은 인연을 가질 수 있는 선(善)한 업(業)을 가지는 것이기도 하다. 두 번째는 일상적인 생활문화 속의 효를 살펴보고 있는데, 특히 설화, 속담 그리고 효와 관련된 동물상징 등을 분석하고 있다. 설화와 속담을 통하여 효를 권장하고 효성이 지극하면 하늘도 감동한다는 교훈을 잘 보여준다. 또한 동물에 빗대어서 동물도 어미의 은혜를 아는데 어찌 인간이 자신을 낳고 길러준 부모의 은혜를 한순간에도 망각할 수 있겠는가라고 하는 강한 메시지가 들어있다. 세 번째는 유교문화 속에 들어 있는 효 문화를 고찰하고 있다. 유교적인 입장에서 보면 효는 만행의 근본이 되는 덕목이다. 이러한 유교문화가 중국을 통하여 한국으로 들어오면서 한국적인 풍토와 문화에 녹아들어가면서 한국적인 유교문화로 탈바꿈하였으며, 또한 지속적으로 더욱더 체계화 되고 정격화 되어서 오히려 중국의 유교문화가 제시했던 효 사상보다도 더 본격적인 효 문화로 발전하게 되면서 오늘날에도 효는 한국인들에게 주요한 실천덕목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특히 오늘날 과거의 전통문화 중에서 효(孝)의 중요성은 어느 때보다도 더 중요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도 모른다. 삭막한 도시의 공간 속에서 인간다운 정(情)을 느낄 수 있는 것은 아직까지도 효(孝)라는 덕목이 사회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효(孝)가 불교에서 이야기 하는 만물의 생성에 비유되지 않더라도 혹은 일상적인 생활공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구비전승문화와 동물상징에서 비유되지 않더라도 또한 전통적인 유교문화권에서 가정에서의 효와 국가를 위한 충(忠)을 동등하게 다루던 이상적인 국가의 가치관을 이야기 하지 않더라도 오늘날 효(孝)는 한 개인을 개인답게 하고 한국인을 한국인답게 하고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한국문화의 정수(精髓)요, 민속문화의 뿌리로서 재발견되어야 하겠다.
In this article, I will focus on filial piety and folklore inside Korean culture. The article is divided into three main parts. Firstly, I will elucidate folklore inside Buddhist tradition which is a fundamental aspect of Korean culture. From the standpoint of Buddhism, just like the sky and the earth, filial piety is considered as the basic principle for every living creature and thus it is the most essential thing in universe. In other words, filial piety is an ongoing affinit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this tie is believed to be delicately connected not only to the previous world but also to the present and the future worlds. Secondly, filial piety is embedded into every day folk culture, in particular, folk tales, proverbs and animal symbols. Folk tales and proverbs concerning filial piety show that the deep and honest devotion to parents will even impress heaven. By emphasizing the fact that also animals tend to serve their father and mother in the animal world, animal symbols stress the importance of filial piety for all human beings. In accordance undutiful persons are regarded as wild beasts. Thirdly, I will show the relation of filial piety and Confucian culture. Especially in confucianism, filial piety is the most elementary source for every activity and behaviour in human society. Confucianism was introduced to Korea from China in the late Koryo dynasty. This philosophy, or more precisely this ethical thinking and activity, has been gradually and systematically developed inside Korean culture. It still remains important today. Hence filial piety is wide spread among Korean people within confucianism. In our contemporary world,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past tradition and folk culture seem to loose importance. However, Koreans are keeping their humanity and compassion thanks to the strong sense of filial piety felt by the majority of people in Korea. For the restoration of traditional culture in the 21st century it is time to recover filial piety because filial piety is the core of Korean culture as well as the root of Korean folk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