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5
18.97.9.175
close menu
Accredited SCOPUS
최신임상강좌 : HELLP증후군 처치의 최신지견
Recent Clinical Review : Recent trend in management of the HELLP syndrome
김사진 ( Sa Jin Kim )
UCI I410-ECN-0102-2012-370-000346101

중증 전자간증의 증세인 고혈압과 단백뇨를 보이는 것과는 다르게 용혈성 빈혈, 간기능장애, 혈소판 감소증을 동반하는 HELLP증후군은 산모 및 태아에게 심각한 부작용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므로 조기진단에 따른 치료가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후향적인 방법이나 무작위 임상실험을 통하여 명확한 진단적 기준이나 위험인자의 선별, 치료방법에 대하여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지만, 이러한 수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HELLP증후군의 정확한 진단 및 치료기준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고찰은 최근까지 발표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HELLP증후군의 다양한 진단기준 및 유사질환의 감별진단을 다루어보고, 치료에 있어 논쟁의 여지가 있는 기대요법, 스테로이드 투여 등의 다양한 치료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Hemolysis, elevated liver enzymes, and low platelets (HELLP) syndrome is considered to be a severe form of preeclampsia. Preeclampsia is a multi system disease of pregnancy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 impact on health for both mother and fetus. Despite the voluminous literature,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is syndrome remain controversial and it is ultimately treated by delivery. Treatment of HELLP syndrome usually is supportive management, including seizure prophylaxis and blood pressure control and treatment of complications. However, several clinical trials have suggested that corticosteroids can stabilize the disease in the antepartum period and accelerate recovery after delivery. Rarely, some patients require transfusion of blood products and plasmapheresis. This articles focuses on the diagnosis, management of HELLP syndrome based on results of recent stud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