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3.58.37.241
13.58.37.241
close menu
}
KCI 등재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한 지리 수업목표의 진술과 평가의 실제
The Statement of Geography Instruction Objectives and the Creation of Evaluation Questions Based on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신진걸 ( Jin Geol Shin ) , 조철기 ( Chul Ki Cho )
UCI I410-ECN-0102-2012-320-000233441

본 연구는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수업목표를 진술하고, 진술된 목표 중 개념적 지식의 목표에 적합한 평가문항을 선다형과 서술형으로 각각 작성하여 실제 평가를 하고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은 명사로 이루어진 지식 차원과 동사로 이루어진 인지과정 차원으로 구성 된 이차원적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에 근거하여 교과 차원에서 수업목표를 진술하였을 때 내용과 행동의 위계가 더욱 뚜렷해지고, 명료화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이 부자연스럽게 연결된 것도 있었으며, 유목의 세부 내용에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목표 진술도 나타났다. 한편, 4개의 지식 차원 중 개념적 지식의 차원에서 각각 선택형 문항과 서술형 문항을 작성하여 평가를 실시한 결과 유목의 위계보다는 난이도에 따라 정답률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ate the objective of instruction based on revision of Bloom`s taxonomy educational objectives, make testing questions that are proper to conceptional knowledge among stated objectives into multiple choice and subjective questions and implement the actual assessment. Revision of Bloom`s taxonomy is constituted with two dimensional structures. That is, one is dimension of knowledge made of noun and the other is dimension of cognitive processing made of verb. By stating the objectives of instruction based on revision of Bloom`s Taxonomy, the result was that hierarchy of content and behaviour gets more definite and clearer. But, some problems emerged in applying revision of Bloom`s taxonomy to the subject. In the processing of stating the objectives of instruction according to all items, there were some cases that dimension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ing is connected unnaturally. Also, there were statements of objective that were fell into detailed content of items. Meanwhile, in making and evaluating out multiple choices and subjective questions respectively according to conceptual knowledge among four kinds of knowledge, the difference of percentage of the correct answer is resulted from degree of difficulty rather than hierarchy between categor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