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심리검사를 지능검사와 적성검사로 분류하고, 이러한 검사 영역 중에서 공간 지능 측정 부분 및 항목을 추출하여, 기존 방법에 의한 공간지능 측정의 한계를 측정 범위, 측정 방법, 측정 결과의 한계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대안으로서 영역에 기반 한 공간지능 측정 방법의 방향을 제시했다. 기존 방법에 의한 공간지능 측정 방법은 도형과 지필검사에 의존함으로서 탈맥락적인 상황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측정 방법과 측정 결과에서 한계점이 있으며, 측정 범위에서도 공간 관계 능력을 측정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기존 측정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특히 지리교육에 활용 가능한 공간지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첫째, 지리적인 내용과 일상적인 상황에 기반한 문제 사태로 측정 항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존의 도형 이용 방법은 도형의 친숙 정도에 따라서 측정 결과가 왜곡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일상적인 상황으로 문제 사태를 구성하여 이러한 편차와 왜곡을 줄여야 한다. 셋째, 공간 지각, 공간 정향, 공간적 가시화 부분과 함께 실제 상황과 지리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공간 관계 능력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현실적으로 불완전하지만 객관적인 수치에 의한 상대적 비교 방법은 1차적인 방법으로서 의미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심층면접이나 관찰에 의해서 각 개인의 심층적인 지능 발달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
This research classify existing mental inspection into the intelligence test and aptitude test about spatial intelligence. It looks into the limitation of mental test focus on measurement range, method and result in spatial intelligence test. This research propose the alternative method and direction of spatial intelligence test on the basis of domain (geography). The existing test has a limitation because it is accomplished the a-contextual situation by figure and paper and pens test. For the overcome the limitation and practical use in geography education, it is need to reshape the next point. Firstly, we need to reorganize measurement item which is usual problem contents basis on geographical situation. Secondary, the figure usage method has the problem it is distort the measurement result by the figure familiarity each other. Thirdly, it is need to include the spatial relation abilit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n geography education. Fourthly, the objective measurement method valuable beforehand for the discover the intelligenc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by in-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 in the next st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