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5
18.97.9.175
close menu
2007개정교육과정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An analysis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first grade textbook of "Pleasant Life"
홍영기 ( Young Ki Hong )
UCI I410-ECN-0102-2012-320-000251403

본 글은 2007개정교육과정 중 `즐거운 생활` 1학년 교육과정은 통합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2009년부터 새롭게 적용되는 통합교과서와의 관계와 적용방안을 살펴보았다. 상당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2007년 동합교과 개정교육과정 중 `즐거운 생활`과는 여전히 특정 교과 영역을 통합한 형태로 교육과정이 제시되어 있어 구조적인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측면을 발견할 수 있다. 교과서의 편찬이 탈학문적 관점에서 단원이 구성되고 세 개의 통합교과 간 통합단원을 두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고자 했지만 교실현장에서 이를 실천하는 교사의 통합적 안목과 실천력이 중요하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즉, 도입차시의 활용을 통한 교실소재의 발굴과 단원계획, 주제를 중심으로 하는 공동단원의 재구성과 운영, 단원목표에 따른 과정중심의 평가 등 교사의 탈학문적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능력이 반드시 필요한 요건으로 대두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irst grade curriculum of the subject `Enjoyable Life` of the 2007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the view of curriculum integration. Based on the curriculum examiation, the relations with the textbook which has been developed by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urriculum integration(SSCI)` are also analyzed. In spite of curriculum reformation, there still exists structural issues that the curriculum is established in a way of combination of the particular subject areas. Meantime, SSCI compiles the textbooks which contains integrated units among the three subjects with the transdisciplianry or real-world approach. Above all, teacher`s curriculum reconstruction ability with a standpoint of transdisciplinary approach will be the key to successful curriculum implement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