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권의 국가들에서는 과거로부터 전통의학에 기초한 여러 종류의 한약재가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다. 임상적으로 한약복용과 연관되거나 이로 인하여 악화되었다고 추정되는 간염은 흔히 경험할 수 있는 문제이나 원인약제를 정확하게 규명하기는 힘든 상태이다. 55세 남자 환자가 내원 1달 전부터 전신쇄약감이 있어 백선을 복용한 후 내원 5일 전부터는 전신쇄약감, 심와부 불쾌감 증세가 점점 심해지며 황달이 동반되어 외래를 통해 입원하였다. 진찰 소견은 황달, 간종대 외에 다른 이상은 없었으나 혈액검사에서 총 빌리루빈 16.0 mg/dL, ALP 288 IU/mL, AST 1,369 IU/L, ALT 1,660 IU/L으로 급성 간염 소견을 보였다. 간생검병리소견상 소엽 내 말단간세정맥 주변으로 담즙정체 및 간세포 재생변화, 쿠퍼세포의 광범위한 증식이 있었고, 문맥역은 염증세포의 침윤과 섬유화에 의해 확장되어 있으며 염증세포는 림프구, 조직구 및 호산구로 구성되어 있어 만성 알코올성 간섬유증에 급성 담즙정체성 간염의 소견을 보였다. 원인약물로 생각되는 백선 복용을 중지시키고 보전적 치료를 하였으며 이후 검사가 호전되어 퇴원하였다. 약제에 의한 간손상, 특히 한약에 의한 간손상의 진단은 쉽지 않으나, 세심한 임상적 관찰로 인과관계의 규명이 비교적 용이하다고 생각되며, 백선을 포함한 여러 한약제의 간독성 가능성에 대한 검토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꼭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Few cases of hepatitis related to Chinese medicine have been reported in Korea. In such instances, since herbal medicines contain many ingredients, the component that causes the hepatitis to develop is unclear. A 55-year-old man was admitted with sudden-onset jaundice after taking the herbal medicine Dictamnus dasycarpus. The patient had consumed 70 g of alcohol daily and stopped drinking about a month earlier. The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no abnormalities other than scleral icterus. The patient`s blood chemistry showed a total bilirubin of 16.0 mg/dL, an ALP of 288 IU/mL, an AST of 1,369 IU/L, and an ALT of 1,660 IU/L. The viral studies were all negative. A liver biopsy showed acute cholestatic hepatitis superimposed on chronic alcoholic fibrosis. This case suggests the development of hepatitis due to an herbal medicine (Dictamnus dasycarpus). Moreover, w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acute hepatitis that developed after the consumption of Dictamnus dasycarpus. (Korean J Med 76:476-480,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