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유암종은 위장관 및 기관지 등의 신경 내분비 세포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전이 및 주위 조직의 침범을 일으킬 수 있어 외과적 절제술을 포함한 광범위 절제가 기본 치료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최근 내시경 시행 증가 및 술기의 발달로 비교적 작은 크기의 유암종에 대한 내시경 절제술이 많이 시행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내시경 절제의 적응증 및 치료 성적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기에 저자들은 위장관 유암종으로 진단 후 내시경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성적을 조사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성가병원, 의정부 성모병원에서 위장관 유암종으로 진단된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총 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 그리고 치료 성적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는 남자 31명, 여자 19명이었고, 연령분포는 17세에서 77세, 평균 연령은 52.6±13.6세였다. 발생 부위는 직장이 30예(60%)로 가장 많았으며, 위 9예(18%), 십이지장 7예(14%), 충수 돌기 2예(4%), 대장 2예(4%)였다. 전체 유암종의 크기는 3~25 mm였고, 평균 크기는 10.1±5.6 mm였다. 50예의 유암종 중 38예는 내시경으로, 11예는 외과적 수술로 절제하였으며, 1예는 다발성 전이가 있어 원발 병소의 치료가 불가능하였다. 내시경 절제술을 시행한 유암종의 평균 크기는 8.6±4.5 mm, 수술적 절제술을 시행한 유암종의 평균 크기는 13.5±6.1 mm였다. 내시경 치료 총 38예 중 25예(65.8%)는 내시경 점막절제술 또는 점막하 박리법을 13예(34.2%)는 올가미를 이용한 용종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내시경 치료 중 불완전 절제된 잔류 병변은 올가미를 이용한 용종절제술을 시행했던 2예에서 발생하였고, 추가적인 점막절제술을 통해 완전히 제거하였다. 십이지장 유암종의 경우 10 mm 이하, 위 및 직장의 경우 15 mm 이하에서 내시경으로 합병증 없이 치료가 가능하였으며, 모든 예에서 재발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위장관 유암종은 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악성화 가능성이 있어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하는 질환이다. 유암종이 점막하층에 국한되어 있다면 십이지장에서 10 mm 이하인 경우, 위 및 직장에서 15 mm 이하인 경우 내시경 절제술이 위장관 유암종의 일차 치료로 가능할 수 있다.
Background: The treatment of choice of gastrointestinal carcinoid tumors has been thought to be radical excision. However, surgical treatment has been substituted by endoscopic treatment in cases of small gastrointestinal carcinoid tumors.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endoscopic treatment for gastrointestinal carcinoid tumor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endoscopic findings of 50 cases of gastrointestinal carcinoid tumors diagnosed in St. Mary`s Hospital, Holy Family Hospital, and Uijeongbu St. Mary`s Hospital, all affiliated organizations of th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enter of Korea,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6.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2.6±13.6 years-old. The mean tumor size was 10.1±5.6 mm. Thirty-eight cases were treated by endoscopy (mean tumor size: 8.6±4.5 mm), eleven cases were treated by surgery (mean tumor size: 13.5±6.1 mm), and one case with multiple metastases was untreatable by either endoscopy or surgery. Twenty five cases of endoscopic therapy were treated by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o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Thirteen cases were resected by use of a conventional polypectomy. Two cases of the conventional polypectomy were resected incompletely, and were treated with an additional endoscopy. No cases of endoscopic treatment have recurr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Conclusions: Recently, the incidence of carcinoid tumors is on the increase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s determined by performing frequent endoscopic examinations in Korea. If the gastrointestinal carcinoid tumor is limited to the submucosal layer, endoscopic treatment could be sufficient as the primary treatment in selected patients with a tumor diameter of 10 mm or less in the duodenum and 15 mm or less in the stomach and rectum.(Korean J Med 73:274-282,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