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담석은 담도계의 가장 흔한 질환으로서 최근 우리나라에서 콜레스테롤 담석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위험인자로는 연령, 여성, 비만 등이 거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건강검진자를 대상으로 최근 7년간의 담낭 담석의 연도별 유병률 및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7년부터 2004년까지 경북대학교 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36,314명을 대상으로 키와 몸무게를 측정하고 공복 혈당과 간기능 및 기본 지질 검사를 하였고 초음파 검사를 통해 담낭 담석을 진단하였다. 체질량 지수에 따라 저체중, 정상체중, 과다체중, 비만 집단으로 나누었고, 공복 혈당 수치는 미국 당뇨 협회에서 제시한 당뇨병의 진단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고, 간기능 수치는 본원에서 사용하는 간기능 정상치를 참조하여 대상군을 나누었다. 지질 수치는 NCEP ATP III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 36,314명의 대상자 중 남자는 19,345명, 여자는 16,969명이었고, 이 중 40대과 50대가 대상자의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담석이 발견된 경우는 735명(2.0%)으로 이 중 남자는 387명(2.0%), 여자는 348명(2.1%)로 유병률에 있어서 성별간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연도별 유병률은 1998년 1.9%, 1999년 1.6%, 2000년 1.4%, 2001년 1.7%, 2002년 1.6%, 2003년 2.8% 그리고 2004년에는 2.7%였다. 단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연령, 체질량 지수, 공복 혈당,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 지 방, AST가 담석의 유병률과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 체질량 지수, 연령, 공복 혈당이 담석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선정되었다. 결론: 건강검진자를 대상으로 한 담낭 담석의 위험인자로는 높은 체질량 지수, 연령의 증가, 높은 공복 혈당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위험인자는 서로 개별적이라기보다 담석에 대한 공통 병인을 가지고 있으며, 담낭 담석이 대사 증후군과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되나, 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Background: Gallstone is the most common disease of the biliary system. Most cases of gallstone are asymptomatic and we incidentally found gallstones during a community health survey. Our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gallstone in a population who underwent health screening. Methods: We enrolled a total of 36,314 persons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from 1998 to 2004. They had their gallbladder or biliary system examined with using ultrasonography. The body mass index and biochemical parameters from liver function tests, the lipid profiles and the fasting blood sugar were all measured. Al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several groups and the particular prevalence for gallstone disease for each group was calculated. Chi-square 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sessed the risk factors for gallstone disease. Results: Among 36,314 persons, (19,345 males (53.3%) and 16,969 females (46.7%)), gallstone was found in 735 persons (2.0%). On univariate analysis, the risk factors for gallstone disease were age, body mass index, fasting blood sugar,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and 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 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isk factors were high body mass index, older age and high fasting blood sugar. Conclusions: The risk factors seem to show a common pathogenesis for gallstone disease. Although the relation between gallstone disease and metabolic syndrome has not been established, it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but further study on a general population is required. (Korean J Med 72:480-490,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