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근치적 절제술이 불가능한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율 및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규명하였다.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서울 대학교병원에서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245명의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우회술, 항암 화학 요법, 동시항암 화학 요법, 고식적 방사선 치료, 지지적 치료 등을 받았다. 또한 저자들은 의무기록을 면밀히 검토하여 임상 소견 및 검사 소견들을 조사를 하였고, 생존자료는 국립 통계청 자료, 전화 인터뷰, 우편 등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가 시행된 췌장암 환자의 평균 연령은 60세였다. 평균 생존율은 5.5개월이었다. 환자들의 연령, 성별, 활동도, 내원 주소, 체중 감소, 진단 시 당뇨 유무 및 유병기간, 황달, 배액술 여부 및 방법, 흡연 여부, 췌장암의 위치, AJCC 병기, 진단 당시 CA 19-9 수치, 치료방법(항암 화학 치료, 동시 항암 화학 방사선 치료, 지지적 치료)에 대한 단변량 분석이 시행 되었다. 이들 중, 연령, 활동도, 종괴의 위치, 진단 당시 CA 19-9 수치, 병기, 치료 방법만이 생존율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다변량 분석에서는 활동도, 종괴의 위치, AJCC병기, 치료 방법이 생존율의 독립적인 예후 인자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룹간 분석에서 제3병기의 동시 항암 화학 요법(median OS 10.6개월) 및 항암화학 요법을 (median OS 12.7개월) 받은 환자군은 지지적 치료만(median OS 6.1개월) 받은 환자군에 비해 생존율 향상을 보였고, 제4병기에서도 마찬가지로 항암 화학 요법을(6.3개월) 받은 환자군에서 지지적 치료만(3.4개월) 받은 환자군에 비해 생준율 향상을 보였다. 결론: 수술이 불가능한 췌장암 환자에서 활동도, AJCC 병기, 종양의 위치, 치료 방법 등이 독립적인 예후인자였다. 지지적 치료만 받은 환자군에 비해, 동시 항암화학 요법이나 항암화학 치료를 받은 환자군의 생존율이 통계 적으로 유의 하게 증가했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수술이 불가능한 췌장암 환자에서 보다 적극적인 치료는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Background: The prognosis of pancreatic cancer is very poor and it is generally unresectable when it is diagnos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the clinical and laboratory variables, and the survival for unresectable pancreatic cancer pati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collected 245 unresectable pancreatic cancer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nd had their disease pathologically proved between Jan. 1999 to Dec. 2004. They underwent palliative interventions, including surgical bypass, palliative chemotherapy, palliative radiotherapy or supportive care. We also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for the clinical and laboratory variables, and we investigated their survival data.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0 years old (range: 28-87) and the median overall survival was 5.5 months. Age, performance status, tumor location, initial CA 19-9 level, AJCC staging and the treatment modality had prognostic significance on univariate analysis. On multivariate analysis, performance status, tumor location, AJCC staging and the treatment modality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On the subgroup analysis, stage III patients who underwent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 median OS 10.6 months) or chemotherapy alone (12.7) showed survival benefit over the best supportive care (6.1). Stage IV patients who underwent chemotherapy (6.3) alone showed survival benefit over the best supportive care (3.4). Conclusions: The performance status, AJCC staging, tumor location and the treatment modality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of unresectable pancreatic cancer. The patients who received chemotherapy or CCRT showed better survival than those who received the best supportive care group. Therefore, active treatment modality should be considered for unresectable pancreatic cancer. (Korean J Med 72:151-161,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