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병원감염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현재 황색포도알균은 병원감염의 중요한 원인균이다. β-lactamase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반합성 penicillin인 메티실린(methicillin)에도 내성을 보이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이하 MRSA)의 분리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병원감염에 의한 MRSA의 경우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이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지역사회의 빈도 역시 증가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병원감염 및 지역사회의 MRSA의 위험인자 및 예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법: 이에 저자들은 1999년 1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에서 치료받은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성인균혈증 환자 164예를 대상으로 하여 지역사회와 병원감염의 빈도, 관련인자 및 예후를 조사하였다. 결과: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균혈증은 MRSA는 77예, MSSA는 87예였고 MRSA 중 병원감염은 65예(84.4%), 의료행위 관련 감염은 9예(11.7%), 지역사회감염은 3예(11.7%)였고, MSSA는 병원감염 31예(35.6%), 지역사회감염은 56예(64.4%)였다. 병원감염에서 MRSA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인자는 다변량 회귀분석상 60세 이상(OR 4.9, p=0.017)과 이전의 항균제 사용병력(OR 15.6, p<0.001)이였으며 당뇨나 다른 기저질환은 MRSA의 위험도와 무관하였다. 병원감염 MRSA 중 패혈성 쇽이 있던 군에서 사망 위험률이 13배 증가하였다(p<0.001). 결론: 병원감염에서 MRSA는 67%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60세 이상의 고령과 이전의 항균제 사용 등이 MRSA 위험률을 증가시켰고, 패혈성 쇽이 있는 군에서 사망률이 증가되었다. 황색포도알균, 특히 메티실린 내성의 경우 병원감염과 이에 의한 균혈증의 빈도 및 위험요인과 사망률에 미치는 요인 등을 확인하여 이에 대한 선별적 항생제 치료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적절한 항균제의 투약이 예후와 관련이 있는지는 향후 전향적 대규모 연구가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Staphylococcus aureus is the most common pathogen causing nosocomial infection; it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patient morbidity and mortality. The incidence of S. aureus bacteremia in hospitals as well as communitie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past dec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and prognosis of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bacteremia.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64 cases of S. aureus bacteremia during 1999-2003 at the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ases, which satisfied the definition of clinically significant bacteremia and whose medical records were available. Results: The number of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MSSA) was 87 cases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77 cases. There were 65 cases (84.4%) of nosocomial infection, 9 cases (11.7%) of health-care associated and 3 cases (3.9%) of community-acquired MRSA bacteremia.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nosocomial MRSA were previous use of antibiotics (OR 15.6, p<0.001) and advanced age (OR 4.9, p=0.017). The risk factor for increased mortality in patients with nosocomial S. aureus bacteremia was septic shock (Hazard ratio 13.2, p<0.001). Conclusions: MRSA bacteremia was more frequent in patients with previous antibiotic therapy and advanced age. In addition, the risk factor for mortality in patients with S. aureus bacteremia was septic shock. Additional prospective randomized trials to assess the efficacy and initiation of empirical antibiotics in a well matched cohort study are necessary.(Korean J Med 71:405-414,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