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0
18.97.14.80
close menu
성모 마리아 찬가, 깐띠가스 데 산타 마리아(Cantigas de Santa Maria) -중세기 성악곡의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온 스페인 알퐁소 10(X)세, 현왕(賢王)의 "성모 마리아 찬가"-
A study on Las Cantigas de Sta. Maria by Alfonso 10, the Wise
최선화 ( Sun Hwa Choi )
음악연구 vol. 41 89-142(54pages)
UCI I410-ECN-0102-2012-320-000170574

본 논문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깐띠가스는 서양 중세 음악사가 형성되어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깐띠가스는 단선 선율의 성악곡으로 시 문학과 음악 장르에서 예술적인 가치로써 기념비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우리나라의 세종대왕처럼 문예(文藝)를 사랑했던 알퐁소 10세(1221-1284)는 그의 왕실 전속 음악가들과 아랍 음유 시인 및 세파르디(유대교) 음악가들까지 총동원하여 깐띠가스를 집대성했다. 현왕으로 추앙받은 알퐁소 10세는 1252년부터 1284년까지 까스틸랴(Castilla)와 레온 지방의 왕이었다. 그는 똘레도(Toledo)의 번역학교를 크게 장려하여 법전을 편찬하기도 하였다. 또한 광범위한 깐띠가스를 수집, 집대성하여 편찬을 선두 지휘했으며 그 일부는 자신이 직접 작곡하기도 하였다. 그의 성모님 찬가 총 420여 곡은 성모님의 기적과 자비로운 사랑의 업적을 노래하는 신심 깊은 곡들이다. 이 깐띠가스는 성모 마리아를 찬미하는 깐띠가스(Cantigas de loor de Santa Maria)와 성모 마리아가 행한 기적을 길게 서술한 깐띠가스(Cantigas de milagres de Santa Maria)로 나뉜다.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가 스페인에서 형성된 것은 기원 초기일 것으로 추정된다. 동로마 제국의 지배 당시 스페인이 다른 나라들보다 먼저 그리스도교를 받아들였기 때문에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형성 시기도 이른 것이다. 서기 8세기경(711년)에는 아랍인들이 북아프리카로부터 지중해 이베리아 반도로 진출하였다. 스페인 회교국을 꿈꾸는 이들에 의해 알-안달루시문명이 찬란히 꽃피우게 된다. 스페인이 14세기에 이르러 회교도들로부터 국토를 수복할 수 있었던 열쇠는 바로 그리스도교 신앙이었다. 역사적으로 이베리아 반도 내의 신앙의 발자취는 대단한 것이다. 순례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대성전, 참배소, 경당(Santuarios)들마다 예배의 목적으로 쓰인 곡들이 오늘날까지 필사본으로 전해진다. 그 예로 야곱 성인의 묘소가 있는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Santiago de Compostela-별이 흐르는 강이란 뜻이 된다)의 대성전에서는 코덱스 칼리스티누스(Codex Calixtinus) 전집이 현대까지 전해오는데 이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3성부(聲部)로 작곡된 필사본이다. 이 전집의 일부는 12세기에 이르러 성모 마리아 찬가 깐띠가스에 포함되었다.

Las Cantigas de Sta. Maria (middle of 13th century-1284) constitute the medieval religious song list in the galaic-portuguese literature, against the profane which would be constituted by Las Cantigas de Amigo, de Amor y de Escarnio. It is a group of 427 compositions in honour to the Virgin Mary. Most of them are cantigas which tell us miracles happened with Mary`s intervention; the work is also formed with Las Cantigas das Cinco Festas de Sta, Maria, Las Cinco Cantigas das Cinco Festas do Nostro Senor, El Cantar dos Sete Pesares que viu Sta. Maria de seu fillo y una maia. Marian devotion was growing up in that century and friars, clergymen and knights in general took part from it. The kings encourage poets and jongleurs in his cantigas in order to dedicate their efforts and inspiration to the Saint Lady. There exist some doubts about the direct authory of King Alfonso X, but nobody doubts about his participation as a composer in some of them, and at least ten are definitely attributed to the King. An opinion founded in a note from a Toledan manuscript gives the king the authorship from about 100 cantigas. Probably the praises and miracles related to his own biography are personal works of the King or, maybe those that cause him a stronger impression; so the authorship of the rest would be by his collaborators in the court. W. Mettman, author of a critique edition of Las Cantigas, thinks that a lot of them can be attributed to the poet and Galician trovadour Arias Nunes. The question on the authorship isn`t solved yet. Codexes: There are 4 codexes kept from Las Cantigas de Sta. Maria and they all come from Alfonso`s X court: -Toledan Codex, which belonged to Toledo`s Cathedral until 1869 and now is conserved in the National Library in Madrid. (more than 10069) -The second codex, the richest one, is conserved in El Escorial`s Library (codex j.b.2) and it has 417 cantigas. -Another codex is also conserved in El Escorial (j.b.1) with 198 cantigas, musical notes and 1275 miniatures. -Florencian Codex conserved in the National Library of this city; it contains 104 cantigas, two of them don`t appear in the other two codexes. Las Cantigas are divided into 2 groups: -The first one is formed by Las cantigas de Ntra. Senora in which the theme is formed by praises to the Virgin Mary. -The second, which is shorter, is formed by praise cantigas and more serious and deeper poems, almost mystic. The cantiga has got great importance from a triple point of view: literature, music and picture. Melodies are taken from the Gregorian monody, from popular lyrics and trovadour songs, and most of them take the form of rondeau, with musical chorus which is repeated after annotation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