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7.58.30
3.147.58.30
close menu
}
협화음정과 협화3화음에 대한 재해석
The Reinterpretation about Consonance of Intervals and Major-Minor Triads
박정미 ( Jeong Mi Park )
음악연구 40권 1-50(50pages)
UCI I410-ECN-0102-2012-740-000169620

화성학이나 음악이론에서 설명하는 협화음정과 협화3화음에 대한 내용은 거의 대부분이 하나의 근음으로부터 파생되는 배음렬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설명에서 발생하는 오류들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찾는다. 하나는 배음렬 적용에 있어서, 음정이나 화음의 각 음에서의 배음렬들의 상호관계를 살피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배음렬 이외의 학문 즉, 수학, 물리학, 생리학 등의 이론들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음정의 주파수 비율이 간단한 정수비를 가질수록 협화적이며, 장3화음과 단3화음이 거의 동등하게 협화적임을 과학적이고 논리적으로 증명할 수 있으며, 근음의 실체가 화음을 파생시키는 뿌리(root)가 아닌, 오히려 음들의 조합에 의해 생기는 조합음임을 증명할 수 있다.

In most books of harmony and music theory, consonance is explained through harmonic series derived from root. This study indicates the fallacies about those explanations and suggests two solutions. First, we should observe relationship of harmonic series from each tones. Second, we should use theories of other fields - mathematics, physics, and physiology. I hereby could prove scientifically and logically the simpler ratios intervals are, the more consonant they are, major triad and minor triad are almost equally consonant, and the fact of `root` is not root, but combinational tone generated through combination of ton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