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고등학생 약물남용의 동기와 그 대처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청소년 약물남용의 실태, 약물남용의 동기, 예방교육에 대한 인식도를 분석함으로써 청소년 약물남용의 효과적인 교육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에 있는 12개의 중학교와 19개의 고등학생을 무선표집하여 총 1,828부의 설문을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은 SPSS/PC+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의 내용과 분석목적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각 배경변인에 따른 반응상의 차를 알아보기 위해 t/F검증 및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들의 음주동기는 `친구들과 어울리기 위해` 하는 경우가 높다. 음주동기에 관한 집단간 차이에서는 성별(p<.001)과 학교급별(p<.001), 거주지역별(p<.05), 그리고 생활정도별(p<.05) 모두 의미있는 차이가 각각 있다. 흡연 동기는 `괴로움과 우울감을 잊기 위해서`와 `친구들과 어울리기 위해`가 비슷하게 높다. 흡연동기에 관한 집단간 차이에서는 성별 (p<.01)과 학교급별(p<.01)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있고, 거주지역과 생활정도에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다. 마약류와 흡입제 사용의 동기는 `황홀감을 느끼기 위해`가 가장 높다. 마약류와 흡입제 사용의 동기에 관한 집단간 차이에서는 학교급별(p<.01)과 거주지역별(p<.05)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있고, 성별과 생활정도에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다. 둘째, 약물남용의 심각성 정도에 대한 인식은 전체 학생들이 심각하게 느끼고 있다.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이 더 심각하게 느끼고 있으며, 읍·면지역의 학생이 도시지역의 학생보다 더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다. 학교급별(p<.05)과 거주지역별(p<.01)을 제외한 두 집단은 비슷한 반응을 보이고 있어 집단간의 차이가 없다. 셋째, 약물남용에 관한 예방교육의 만족도는 보통이상의 만족을 보이고 있으며, 예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도 보통을 상회하고 있다. 넷째, 약물남용의 해결방안은 `자기 자신의 절제`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국가 및 사회차원에서 `청소년을 위한 환경조성`이 그 다음으로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motives and solutions of the drug abuse in secondary schools` stud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10 middle Schools(900 students) and 19 high schools(1,260 students) located in Jeonbuk Province. The 1,82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demographic backgrounds had school level, sex, residential district, and SES. Data was processed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for the content of questions and purpose of analysis. Second, The difference among categories was explained with cross analysis (Chi-square), t-test and one-way analysis(one-way ANOVA: F). Based on analysis on data collected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conclusions are made as follows; First, The motive of drinking is `to be suitable with friends` and the motive of smoking is `to forget the distress & depression`. The motive of the narcotics & inhalation` use is `to have ecstasy`. Second, A largely students take it seriously for the problem of the drug abuse. Third, The preventive discipline of the drug abuse is high for it`s satisfaction. Fifth, The solution of the drug abuse is `self-restraint on oneself` and `environment composition for teenag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