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3
18.97.9.173
close menu
북한 핵실험과 북,미간 외교정책의 변화
Nuclear Test of North Korea and the Changes of Foreign Policy of U.S. against North Korea
손병선 ( Byung Sun Sohn )
UCI I410-ECN-0102-2012-340-000116470

이 연구에서는 9.11테러 이후에 진행된 북한 핵문제가 미국의 대북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그 후 북·미간 외교정책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미국은 북한 핵폭탄이 테러리스트들 수중으로 들어간다면 그것은 미국에게는 재앙이 되므로, 북한 핵을 `동결`이 아니라 `폐지`해야 한다고 강변하였다. 이에 맞서 북한은 과감한 핵실험과 함께 강압외교전략을 추진하였는데, 이 외교전략의 궁극적 목표는 내부적으로 북한 김정일 체제의 유지이고, 국제적으로는 강압외교정책을 정착시키는 것이다. 미국은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유엔안보리 회부를 강조하면서 북·미간 양자대화가 아닌 다자간의 국제협의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북미 대화 등 외교적 협상에 있어서도 다자구도에 의한 엄격한 상호주의 준수와 합의사항 이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북한과 미국의 이러한 외교정책의 추진은 핵실험 이 후 상대방의 입장과 전력에 대해 확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강압적 외교를 통해, 외교적 실리와 제압의 효과를 얻으려는 의도에서 추진되었다고 분석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s of North Korea`s nuclear test on the foreign policy of United States against North Korea. Worrying on the possibility that the nuclear weapons were sold to the terrorists, United States have strongly maintained North Korea should not simply freeze the plan to develop nuclear weapons but must abandon it completely. Standing against such pressure, North Korea adopted the coercive diplomacy and pushed ahead the nuclear test in order to maintain the Kim Jong-il`s regime internally and to change the policy of Unites States against North Korea externally. United States have preferred discussing the problem of nuclear test either in the Security Council of United Nations or in other relative multi-nations, and have strictly emphasized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It seems that these strong foreign policies of both countries were pursued to harvest the best advantages under the conditions that both parties cannot be sure to judge the intention and potential of opposite par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