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2
18.97.14.82
close menu
방송프로그램 장르간의 경쟁과 효용성연구: 지상파방송사와 뉴미디어방송간 프로그램경쟁 중심으로
권상희 , 강영희 , 오경수
사회과학 vol. 42 iss. 1 33-69(37pages)
UCI I410-ECN-0102-2012-510-000160230

본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용성 측면을 경쟁지표로 설정하여 플랫폼별 수용자가 인식하는 `중요도`를 측정한 연구이다. 연구설계를 바탕으로 총 533개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여 일차적으로 1) 전체 방송프로그램 장르에서 수용자가 인식하는 프로그램 효용성을 요인분석으로 추출한 이후 개별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적소 폭 단위로 측정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효용성을 오락, 정보, 대인관계, 자아개발, 일상성의 측정단위로 하여 2) 전체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 적소를 이 다섯 개의 요인으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방송프로그램 적소단위는 보도, 교양, 오락을 대 분류로 하여, 개별방송 프로그램 장르별로 적소효용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개별방송사별 장르적소의 크기를 측정하여 3) 지상파방송(KBS, MBC, SBS)과 뉴미디어방송(케이블, 위성TV, DMB)의 프로그램 적소크기를 측정 비교하였다. 그 결과 지상파방송이 전반적인 보도, 교양의 적소가 높게 나타났고, 뉴미디어는 드라마 오락분야에 적소크기가 높게 나타났다. 나아가 방송사별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바탕으로 플랫폼의 중요도(개인적vs.사회적) 중요측정에서 지상파는 사회적중요성이 뉴미디어는 개인적인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