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동안 살아오면서 경험한 부정적인 사건을 살펴보고 그 사건이 미친 영향을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사건이나 영향의 구체성을 위해 남학생과 여학생간의 차이비교도 실시하였다. B시내의 대학생 8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연구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t-test,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인 경험을 한 시기는 주로 고등학교 시절이었다. 남학생의 경우에는 군복무기간의 응답자가 많아 우리나라의 특수한 환경에서의 경험을 반영하고 있다. 둘째, 대학생들이 생애동안 경험한 부정적인 사건은 주로 이성이나 동성 간의 대인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인 경험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 더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의미있게 나타나 여학생이 더 많은 상처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부정적인 경험이 미친 영향은 6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그중에서 부정적인 요인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긍정적인 요인도 있었다.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들을 위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도와 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effect factors affected by negative experiences that college students have had in their life since elementary school era. The study examined kinds of negative experiences that could happen in adolescence and classified effect variables to clear how negative experiences affect on youth. More specifically, the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erms of kinds of negative experiences and effect fact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74 college students who enrolled in universities in B metropolitan city in Korea. The analysis of t-test, reliability, factor analysis were employ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students had negative experiences in high school. Male students pointed out that negative experiences often happened in military service era. Second, college students remembered the most negative experiences in their life we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friends or lovers. Third, the effect by negative experiences were negative rather than positive, especially for female students. Forth, effect variables were classified with 6 factors, contain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loadings. The first factor that is negative loading accounts for 30.179% of the total communality. The study suggests the colleges need to provide continuous and systematic counseling program for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