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2.34.41
3.12.34.41
close menu
}
KCI 등재 SCOPUS
계화도 간척지에서 석고, 팽화왕겨 및 제올라이트 처리가 토양 중 양이온 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Gypsum, Popped Rice Hulls and Zeolite on Contents of Ca2+, Mg2+, Na+, K+ in Reclaimed Tideland Soils in Kyehwado
백승화 ( Seung Hwa Baek ) , 이상욱 ( Sang Uk Lee ) , 임효빈 ( Hyo Bin Lim ) , 김대근 ( Dae Geun Kim ) , 김성조 ( Seong Jo Kim )
UCI I410-ECN-0102-2012-690-000353241

본 연구는 간척지 토양 중 세사양토에 대하여 입단형성을 위해 가해진 토양개량제가 토양 중 양이온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토양개량제로 이수석고 1550 (G1), 3100 (G2), 6200 (G3) kg/10 a, 팽화왕겨 1000 (H1), 2000 (H2), 3000 (H3) kg/10 a, 팽화왕겨 1500 kg/10 a에 zeolite 200 (HZ1), 400 (HZ2), 800 (HZ3) kg/10 a가 되도록 처리량을 달리하여 3년간 연용하고, 버뮤다그래스를 재배한 토양을 60, 90, 120일 경과 후 채취하여 토양개량제 연용이 토양 중 양이온 함량변화에 미치는 결과를 보고한다. 이수석고의 처리는 토양 중 K+, Na+, Mg++의 함량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K+ 함량은 토양개량제의 종류 및 처리수준과 관계없이 연용기간이 길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K+ 함량은 연도별의 경우 2004 > 2005 > 2006 순으로 낮았으나 동일연도에서는 이수석고 < 팽화왕겨 < 팽화왕겨+zeolite 순이었으며, 90 DAT에서 잘 나타나고 있었다. Na+ 함량은 토양개량제 연용에 따른 변화는 없었으나 토양개량제의 종류에 의한 함량에서 차이를 보였다. 2006년 120 처리구에서 이수석고 및 그 처리량에 따라 Na+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현상을 볼 수 있었고, 2006년도 토양 중 Na+ 함량은 이수석고 ≪ 팽화왕겨 < 팽화왕겨 +zeolite 순이었다. Mg++ 함량은 팽화왕겨+zeolite의 경우 년도별 증가형태가 안정적이었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이수석고 < 팽화왕겨 < 팽화왕겨+zeolite 순으로 높아지고 있었다. 이수석고 및 그 처리량에 따라 Mg++ 함량은 현저히 감소하는 현상을 볼 수 있었고, 팽화왕겨, 팽화왕겨+zeolite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그리고 연용에 따라 감소되는 정도가 적었다. 동일 조건에서의 토양개량제 처리는 이수석고 < 팽화왕겨 < 팽화왕겨+zeolite 순으로 높아지고 있었다. Ca++의 경우 이수석고 연용처리는 처리수준이 높을수록 토양 중 Ca++이 높아지는 결과가 되었으며, 년도별 변화도, 2004 <2005 < 2006년의 순으로 연용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팽화왕겨, 팽화왕겨+zeolite 연용처리는 대조구에 비해 함량변화가 적었다. 토성이 세사양토인 간척지의 양이온 중 K+, Na+, Mg++ 함량 감소에 효과적인 토양개량제는 이수석고 이었다.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gypsum (G), popped rice hulls (PRH), and zeolite (Z) in exchangeable cations concentrations of reclaimed tideland soil in Kyehwado was investigated for 3 years from 2004 to 2006 in a pot experiment with bermuda grass (Cynodon dactylon). Treatments with three soil conditioner and with three applications were established with three replications; G1 (1,550 kg 10 a-1), G2 (3,100), and G3 (6,200) for gypsum, H1 (1,000), H2 (2,000), and H3 (3,000) for PRH, and HZ1 (200), HZ2 (400), and HZ3 (800) for co-application of zeolite with PRH at the 1,500 kg 10 a-1. At 60, 90, 120 days after treatment (DAT), exchangeable cations (K+, Na+, Mg2+, and Ca2+) were analyzed. Gypsum applic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K+, Na+, Mg2+ in the soil probably due to exchange and subsequent leaching of these cations by Ca2+ from the gypsum applied. Overall, K+ concentration was gradually decreased by continuous application of soil conditioners and was in the order of 2004>2005>2006 regardless of the kinds and application rate of soil conditioners. Comparing K+ concentrations among the soil conditioners in the same year, its concentration was in the order of gypsu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