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7
18.97.14.87
close menu
Accredited
한국인에서 미세단백뇨의 유병률 및 임상적 특성
Preval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microalbuminuria in Koreans: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tudy
김은란 ( Eun Ran Kim ) , 성기철 ( Ki Chul Sung ) , 전창욱 ( Chang Uk Chon ) , 권창희 ( Chang Hee Kwon ) , 고영율 ( Young Lyul Koh ) , 이현종 ( Hyun Jong Lee ) , 박성근 ( Sung Kun Park ) , 이도영 ( Do Young Lee ) , 윤지호 ( Ji Ho Yun ) , 김병진 ( Byung Jin Kim ) , 김범수 ( Bum Soo Kim ) ,
UCI I410-ECN-0102-2012-430-000294110

목적: 미세단백뇨는 당뇨병이나 고혈압과 무관하게 심혈관 질환 발생 및 사망의 독립적 예후인자로 인식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된 보고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성인 건강검진 수진자들을 대상으로 미세단백뇨의 유병률 및 미세단백뇨와 인슐린 저항성,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들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강북삼성병원에서 종합검진을 받은 수진자 중 고혈압, 당뇨 등의 기왕력이 없는 총 5,915명(남자 3,053명, 여자 2,852명)을 대상으로 하여 문진, 신체계측 및 생화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에서 미세단백뇨의 유병률은 7.7%였고, 남자와 여자에서 각각 9.5%와 5.7%였다. 미세단백뇨가 있는 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공복 혈당, 공복 혈청인슐린, HOMA index,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체질량 지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이 유의하게 높았다. 미세단백뇨 유병률의 증가와 연관된 인자들을 분석하기위해 다변량 명목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남자, 잦은 음주력, 높은 HOMA index, 낮은 체질량 지수 및 당뇨로 진단된 군 및 혈압이 높았던 군에서 유병률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새롭게 진단된 당뇨 및 고혈압군을 제외하였을 경우에도 미세단백뇨의 유병률은 5.7% (남자 6.9%, 여자 4.7%)였으며, 다변량 명목 회귀분석 결과 정상혈압자에 비해 고혈압 전단계군에서 유의한 유병률의 증가를 보였다. 결론: 대상자들의 미세단백뇨 유병률은 7.7%였고, 새롭게 당뇨나 고혈압으로 진단된 군을 제외하여도 5.7%의 유병률을 보였다. 미세단백뇨는 정상혈압군에 비해 고혈압 전단계군에서 유병률의 증가를 보였으며, 인슐린 저항성과도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에 심혈관 질환의 독립적 위험인자인 미세단백뇨의 유병률을 낮추기 위해 일반성인에서의 미세단백뇨에 대한 검사와 고혈압 전단계군에 대한 생활양식변화 및 약물요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며, 향후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겠다.

Background: Microalbuminuria (MA) is independent predi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it cause mortality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diabetes (DM) and hypertension (HTN). However, few published studies on this topic have been reported in Korea.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MA preval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MA, insulin resistanc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 Methods: A total of 5,915 (3,053 men and 2,852 women) health screen examine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parameters of the atherogenic indexes. Results: The MA prevalence was 7.7% in all participants. The prevalence of MA in the men and women was 9.5% and 5.7%, respectively. Elevated levels of serum fasting glucose, serum fasting insulin, HOMA index, total cholesterols, LDL cholesterol, TG, Body Mass Index (BMI) and th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A. The results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bout MA showed that frequent drinking, low BMI, newly diagnosed DM and elevated levels of HOMA index and blood pressu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A prevalence. Also, excluding newly diagnosed diabetic and hypertensive subjects, the MA prevalence was 5.7% (6.9% in men, 4.7% in women) and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MA prevalenc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individuals with pre-HTN rather than in the normotensives. Conclusions: The MA prevalence was 7.7% in all subjects. Except the newly diagnosed diabetic and hypertensive subjects, it was 5.7%. The MA prevalen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individuals with pre-HTN rather than in the normotensives and MA was related with insulin resistance.(Korean J Med 70:617-626, 2006)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