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6
18.97.14.86
close menu
Accredited
다코다어에 나타나는 문화: 수우(Sioux)인디안 문화의 중심어휘영역
Culture in the Dakota Language: Focal Areas of Siouan Culture
김문수 ( Moon Soo Kim )
UCI I410-ECN-0102-2009-710-019932167

언어결정론(linguistic determinism)에 의하면, 분석의 대상이 되는 언어의 문장표현(sentence-based expressions)과 문법적인 범주(grammatical categories)의 분석을 통하여 당해언어 원어민의 생활양식과 의식구조 내지 문화를 추출하는 방법과, 당해언어의 어휘목록(lexical inventory)의 총체적분석을 통하여 어휘의 세분화현상(lexical specification and sophistication)을 보이는 어휘항목들(lexical items)을 찾아내어 원어민의 생활양식과 의식구조 내지 문화를 입증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두 가지 방법에만 의존하여 어느 민족의 문화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적어도 당해언어 원어민들의 문화핵심영역(areas of cultural emphasis)의 파악은 기대할만하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다코다어(the Dakota language)에서의 어휘목록의 분석을 통하여, 어휘상의 세분화를 보이는 어휘항목을 찾아내어 목록을 작성함으로써 언어결정론의 어휘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다코다어를 사용하는 아메리칸 인디언 종족인 수우족(Sioux)은 전투에서의 승리와 그에 뒤따르는 축제를 일상생활에서 큰 비중을 두면서도 이에 관련된 어휘가 불과 14개-전리품으로 탈취한 옷 관련어휘 8개와 적을 살해하는 동작 관련어휘 6개-에 불과하여 필자의 의도를 충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한 반면에, 그들이 원시림을 비롯한 대자연속에서 사냥과 칼의 사용이 유일한 생존수단이 되다보니 칼로 자르는 동작(cutting with a knife)을 묘사하는 어휘(95개 어휘)가 발달하였고, 세월의 흐름(passage of time)에 따른 자연환경의 변화를 달(moon)의 묘사에 연관시키면서 연중 12개월(12 months of the year)의 명칭을 30개 달 관련어휘로 세분화하여 연중 시간흐름의 파악을 위한 27개의 달(phases of the moon and months of the year)을 구분해왔다는 사실을 어휘목록의 작성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ship of the Dakota language to the culture of the Dakota aborigines-focused on the vocabulary of cultural emphasis. Today the Sioux aborigines are known to number about 75,000; most of whom live on reservations in North and South Dakota, and Nebrask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lter focal points of Siouan culture through lexical data of Siouan cultural emphasis, which have turned out to comprise highly specified terms of knife-aided cutting actions and those of different phases of the moon. The present writer herein comes up with a glimpse of a lexically observable spectrum of the Siouan culture inherent in the Dakota language. Some focal areas of Siouan culture found in the Dakota language seem to reflect the tribe`s nature-oriented ways of living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ttributed to their long-established habit of relying on their daily use of knife for sustena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