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주요 관심은 도시 공간의 변화와 기억 문화와의 관계를 1990년대 이후 급격하게 변화해 온 서울 도시 공간이라는 맥락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1990년대 초반 이후 세계화의 흐름에 따른 세기말 포스트모던 도시로서의 서울 소비 공간의 변화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다른 한편에서 나타났던 우리 민족 문화와 전통에 대한 관심이 증대했던 사회-문화적 맥락을 분석함으로써 본 논문은 메트로폴리스로서의 서울에서의 기억이라는 문화 현상이 시각 영상 매체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먼저 본 논문은 1990년대 초반 이후 문화유산답사 여행을 계기로 나타난 기억 문화의 변화를 `시간 혹은 역사의 공간화`로 특징짓는다. 이러한 역사의 공간화가 다양한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본 논문은 영화, 공간문화비평 등 다양한 사회-문화적 실천들을 분석함으로써 보여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소위 말하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있어서 기억 문화의 변화에 대하여 최근 청계천 프로젝트 등에서 나타난 새로운 도시 이미지의 재현 양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토론한다.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nge of cityscapes and the culture of remembering in the newly fashioned urban space of fin de siecle Seoulin the 1990s. By focusing on the growing concern with the national traditions and culture in the 1990s Korea, this paper examines how remembering in metropolitan Seoul becomes possible via a particular socio-cultural context, wher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st/present, the old/new, the traditional/modern, and the global/local are constantly contested. I will argue that after the rise of heritage tourism in the early 1990s Korean publics came to read the urban space of Seoul as palimpsests. As the spatialization of history or time became widespread, I will demonstrate how the socio-cultural practice of remembering the past were over whelmed with the fin de siecle sense of crisis in many socio-cultural practices of recollecting the past such as heritage tourism, cultural critiques of space, and science-fiction film. After contextualizing the spatialization of history in the memory cultures since the 1990s Korea, this paper focuses upon how contemporary digitalized visual media are at play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memory cultures in contemporary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