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역사회 연계 학교 문화예술교육 시범사업` 운영 형태를 도입하여 지역 중심 프로그램 지원 모델을 정립하고 있는 경기문화재단의 방과후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확대 발전된 지원 형태를 도입하여 인적자원의 효율적 관리와 운영을 위한 새로운 모델을 정립하고 있는 서울문화재단의 방과후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장기적 방향성과 발전 방안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첫 번째, 사업 관리 체계 및 소통 구조에 있어 강사지원모델을 취하는 서울문화재단은 재단과 강사 및 전문지도교수 간의 소통구조 활성화를 통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였으며, 단체지원모델을 취하는 경기문화재단은 단체와 강사 간의 소통구조를 통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였다. 두 번째,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강사지원모델을 취하는 서울문화재단은 전문예술단체가 개발하기 어려운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하였고, 단체지원모델을 취하는 경기문화재단은 단체의 전문성과 지역성을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에 강점이 있었다. 세 번째, 강사 및 프로그램에 대한 질 관리 측면에 있어, 강사지원모델을 취하는 서울문화재단은 재단이 위촉한 전문지도교수를 통한 직접적 코칭 및 사전연수 등을 통한 강사 관리 시스템을 만듦으로써 사업의 내실화를 기한 반면, 단체지원모델을 취하는 경기문화재단은 강사에 대한 질 관리를 단체에 위임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네 번째, 사업운영관리에 대한 책임성에 있어, 강사지원모델을 도입한 서울문화재단은 재단과 강사가 책임을 공유하나, 단체지원모델을 도입한 경기문화재단은 단체에 책임을 일임하되 그와 더불어 자율성을 부여하는 방식을 취했다. 학교가 `교육 공간`에서 `삶의 공간`으로 변모하면서 만들어진 방과후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은 문화적 `채움`과 `보탬`을 통한 새로운 교육지원 모델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서울문화재단과 경기문화재단의 지원 시스템과 접근 방식은 다르더라도, 아동과 학교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의 구심점 역할을 해야 한다는 목표의식을 공유한다면, 방과후학교 사업을 통한 `지역사회 속의 학교`, `문화가 숨쉬는 학교`의 모습을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after-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ing project of GyungGi Cultural Foundation (GCF) and that of Seoul Foundation of Arts and Culture (SFAC), and had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long term direction and evolving plan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ject. The GCF operates the local-centered program supporting model by importing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model project for local society connected school, and the SFAC operates new model for the efficient control of human resource by importing extended version of the artist-teacher supporting project. First, in the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the structure of communication, the main focus of the activation of communication in the SFAC model was mutual relationship of foundation, artist-teacher and academic advisor, but the GCF focused on the program for communication between organization and arts instructors. Second, in the program development, the SFAC developed the integrated arts education program for supporting individual artist-teacher, but the GCF had an advantage to develop the program for the specialty and locality of an organization. Third, in the quality assurance of program for arts instructor, the SFAC developed the artist-teacher control system through direct coaching and training by academic advisors, but the GCF committed quality assurance to the organization. Last, in the responsibility of project management, the foundation and artist-teacher shared the responsibility, but the GCF committed the responsibility to a organization with self-regulation. The after-school policy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the background of the changing concept of school from educational space to living space, gave the possibility of new education supporting model through cultural supplying or adding. The after-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ing project of the GCF and the SFAC can contribute to establish the concept of school in local society or culture-bearing school through the after-school project, if they own jointly the purpose to make school as a center in local society, regardless of their system and method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