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관련문헌의 고찰, 통계자료의 분석과 연구보고서 종합검토를 통하여 정성적인 시각에서 도시철도 전체 노선망에 대한 검토와 구상을 조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기존 광주시 도시철도의 노선망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도시철도와 광역철도의 노선망 구상을 정성적·도시정책적 시각에서 강구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내용은 도시철도 노선망의 개요, 광주도시철도 1호선 노선·운영의 문제점 및 광주시 도시철도 노선망의 구축구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철도 노선망은 정형화된 고유형태를 유지하기보다는 도시구조와 수송수요의 분포에 따라 유형이 다르며, 노선망의 계획에도 다양한 사항을 고려한다. 기본계획에서 제시된 광주시 도시철도 2호선 노선망은 순환선 형태와 효천역~백운광장을 지선으로 연결하는 방안이다. 현재 2호선 노선변경이 요구되는 시내 구간은 효천역~백운광장, 전남대 후문 및 북구 용봉·오치지역 경유 및 광산구 수완·신창·운남·하남지구 지선 연결 등이다. 시외지역의 구간은 광주시 1호선을 위성도시인 화순과 장성간에 연장하는 방안이다. 이러한 요구와 환경변화를 고려하여 광주시 도시철도 노선망은 순환선과 지선망의 결합형태가 바람직하고, 이 노선은 시의 개발 및 확장추세와 조화를 이루는 것이 좋다. 또한 지역 광역철도망은 호남선, 광주선 및 경전선 중심의 3개축에서 장래 6개축의 광역철도망체계로 개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시철도망의 건설계획에서는 광주시의 재정여건, 투자효율성 및 공사에 따른 교통혼잡 등을 고려하여 노선 및 시스템에 대해서는 더욱 세부적인 종합분석과 과학적·합리적인 정책판단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This paper addresses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urban railway networks in Gwangju City, Korea. This study is aimed to review the existing urban railway master plan for Gwangju City, and to identify a comprehensive railway network of urban and regional railway from a stand-point of urban policy and transport policy. This study is mainly based upon a review of current research/papers, an analysis of secondary and administrative data and interviews with related experts. A concept of urban railway network is presented in the second part. The operational problems of Gwangju urban railway network 1 is analyzed and described in the third part. The following 4th part deals with a conceptual framework of Gwangju urban railway networks from a long-term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