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지도’라는 정책수단은 그동안 행정 실제에서 널리 쓰이고 많은 기능을 해 왔지만, 신자유주의의 확산에 따른 규제완화 추세에 따라, 단지 그것이 법적 근거가 없는 비공식적 행정작용이라는 사실 때문에 문제시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행정지도는 행정이 분쟁의 중재와 조정, 정책형성에 적극 개입하고, 유연한 규제집행 수단을 선호하는 경향에 따라 세계 모든 나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최근 한국적 거버넌스의 형성에도 행정지도가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다만 행정지도가 더 나은 행정수단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그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고, 과거의 부정적인 행정지도 관행을 개선, 정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It may be safe to say that administrative guidance has been a controversial administrative means due to the fact that, although it has been widely used and played various roles in administrative practices, it is an informal administrative action without any legal basis in accordance with the spread of deregulation and neoliberalism. However, administrative guidance has been utilized in virtually every country around the world in varying degrees as it is deeply involved in the arbitration and settlement of disputes and policy making and it reflects the global trend that favors flexible measures for regulatory enforcement.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the fact that administrative guidance makes an impact on the recent formation of Korean governance. In order for administrative guidance to become a better policy mean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overall aspect of it and correct negative practices of administrative guidance in the past for further impr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