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7.51.81
3.147.51.81
close menu
}
KCI 후보
조선(朝鮮) 후기(後期)의 실신실학(實心實學)에 관하여
About the Sil-sim Realism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한예원 ( Yae Won Han )
한자한문교육 21권 523-553(31pages)
UCI I410-ECN-0102-2009-720-019927966

소고는 倭亂(1592年~1598年)과 胡亂(1636年~1637年) 이후 조선후기의 사상을 `實心`과 `實心實學`을 키워드 삼아 고찰하였다. 조선후기는 전쟁의 폐허를 재건하고, 보다 견고한 왕조지배체제를 제구성해야 한다는 당면과제가 있었다. 따라서 그 이전과는 다른 氣流가 정치·경제는 물론이고 사회와 문화 등 여러 분야에 흐르게 되었다. 특히 `實`이라는 개념을 자주 눈에 띠는데, 이는 兩亂의 原因을 반성한 결과일 것이다. 즉 `虛`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實`이다. 따라서 英祖·正祖 時期의 文書에서 발견되는 `實心`과 `實心實學`의 용례는 `實`을 내용을 고찰함에 좋은 실마리를 제공해준다. 儒學의 텍스트에서 `實`은 `誠`의 내용을 설명하는 말이었다. 특히 『中庸』에는 `誠`은 하늘의 道이고, `誠之`는 사람의 道라고 하는 規定이 있는데, 이는 `實心`을 분석하고 논의함에 있어서도 중요한 거점이 된다. 용례를 정리하면 실심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공식문서에서 신하가 군주에게 요구하는 `實心`이다. 이 경우 군주는 끊임없이 신하의 忠告과 警告를 받아들이고, 그것을 정책에 반영하는 `實心`을 갖추어야 한다. 政治的 의미가 강한 실심으로, 君民共治를 위한 實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은 行動主體로서의 군주 自身의 文書, 혹은 신하의 個人的 文書에 사용된 `實心`이다. 하늘에서 부여받은 本然의 마음을 실심으로 보는 것이다. 朱子學적 修養論인 `存天理去人慾`과 `戒愼恐懼`의 자세를 갖추고, 內面의 純粹性으로서의 실심을 보존하는 것이다. 이런 `實心`은 他者에게 感動을 주어 共感하고, 他者와의 疎通을 꾀하며, 他者의 마음과 하나가 된다. 여기서의 `實心`은 實事에 임하여 實政을 행하고 백성에 도움이 되는 實效를 거두는 원동력이다. 또 이 실심에 근거한 학문이 `實心實學`이다. 이 `實心實學`은 陽明學的 絶對純粹의 마음을 자각하고 그것을 重視하는 觀点이 기초를 이룬다. 실심을 강조하는 人士들은 文字에 얽매여 있는 知識을 實踐에 옮기는 `實心實學`의 구현을 위하여 노력한다. 즉 朝鮮後期의 새로운 학문기류에서 보이는 實心이란, 자신을 향한 엄격 수양의 필요성을 자각한 데서 나온 개념이다. 이런 실심을 전제로 하는 실심실학이란, 이상적 민생실현을 위한 의식의 표현이라고 생각된다.

This little paper conducted the Joseon`s philosophy, which has some keyword that `Sil-sim` and `Sil-sim Realism`,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Manchu war of 1636. Joseon had some purpose, which is the reconstruction of a country in ruin and organization of strong government. In that course, some other temporary residence affected variety part like policy, economy, social, culture and etc. Especially, this philosophy used the conception of `Real`, because this trend was the conclusion of two wars. In other words, this `Real` is the objection of `Fiction`. In hence, the concept of `Sil-sim` and `Sil-sim Realism` which is discovered by te record of Young-jo and Jung-jo offered some good clues about `Real`. In traditional texts, `Real` explained `Sung Confucianism`. Particularly, in 『Jung-yong』, `Sung` was morality of sky, `Sungji` was people`s it, also this definition apply to the `Sil-sim``s analysis. We cad divide these examples two ways. First `Sil-sim` was offered by monarch in official document what subjects handed in. This situation, he got it when he constantly accepted advices of subjects and followed the requestion. It was very politic. Next, it is the monarch`s own document or subject`s. In such a case, they had independent roles and they thought it was the will of heaven. This `Sil-sim` had Ju-ja`s traditional cultivation theories like `JonChunRiGeoInYok` and `GeSinGong-Gu`. Moreover, it was the result of inside`s purity. It was very impressive explanation devices. It was the motive power which helps administrative business and the nation. These study was named `Sil-sim Realism`. It provided a basis for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s absolute purity. They translated words to acts and made an endeavor it in their own places. At last, the Sil-sim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is the concept of self control, so someone who had realized Sil-sim realism. Above all, it supports the right ways of social and political par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