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7.103.204
3.147.103.204
close menu
}
KCI 등재
중학교 한문과 "한문지식영역"에서 한문문법의 문제 -빈어와 보어의 설정문제-
A study on Korean Classical Chinese grammar of "Knowledge Part" amended in the 7th middle school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concepts of the Object and the Complement-
정순영 ( Soon Young Jung )
한문교육논집 31권 135-171(37pages)
UCI I410-ECN-0102-2009-720-019928650

본 논문은 개정 7차 한문과 중학교 교육과정해설서에 나타난 "한문지식영역"에서 한문문법의 빈어와 보어개념설정문제에 관한 연구다. 개정교육과정은 문법범위나 내용, 용어의 명칭과 개념 등 문법방면에 있어서 타 교과와 보편적 체계에 맞추어 개정의 타당성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용어의 명칭도 한문의 어법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개정중학교교육과정에 보이는 빈어와 보어의 영역구분 그리고 개념규정이 불분명하고, 피상적으로 되어있으며, 예시문도 현장교육에서 초학습자에게 혼란을 가져올 수 있는 예문을 제시하고 있다. 개정교육과정의 빈어와 보어의 혼란은 개념규정을 모호하게 진술한데서 비롯되었으므로 필자는 빈어와 보어의 개념규정을 아래와 같이 수정할 것을 제언 한다. 빈어-`서술어는 동작이나 행위 또는 존재나 소유를 나타내고, 빈어는 그 대상이 된다.`에서 빈어-`서술어는 동작이나 행위(인식, 비교, 칭위, 사유)를 나타내고, 빈어는 그 대상이 된다. `보어-`서술어는 동작, 행위, 상태 등을 나타내고, 보어는 서술어를 보충하여 부족한 뜻을 완전하게 해준다.`에서 보어-`서술어는 상태나 동일관계를 나타내고, 보어는 주어의 상태 또는 존재, 소유나 동일관계의 의미를 보충하여 준다. 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빈어의 서술어 규정을 더욱 구체화하여 행위 항목에 `인식, 비교, 칭위, 사유` 등의 항목을 추가할 것을 제언한다. 또한 보어의 서술어 진술에서 `동작 행위` 항목을 생략하고, 빈어의 규정에서 `존재나 소유를 나타내고` 의 항목을 보어의 개념규정 항목으로 이동하여 진술할 것을 제언한다. 그리고 `동일관계`를 나타내는 계사동사를 추가설정 할 것을 제언한다. 서술어의 지배대상이 되지 않는 비 동작성의 상태, 존재, 소유, 연계를 나타내는 서술어 다음에 오는 성분은 빈어의 위치에 있지만, 지배관계를 갖지 않고 주어의 상태 또는 동일관계를 나타내므로 보어로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학교 한문문법은 지금 언어생활에서 사용하기 위한 대상은 아니다. 한문문법은 기록되어 있는 문언문에 대한 체계적 현상을 기술하는 것으로 독해를 위한 수단이다. 그러므로 학교문법은 학문문법 체계를 근거로 기술되어야 하지만, 무엇보다도 학교 현장을 고려하여 학습자에게 쉽게 설명되고 이해될 수 있는 학습 방법의 개발이 절실하다.

This paper studied Object and definition of Complement concepts of Chinese grammar as shown the 7th middle school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in 2007. The curriculum of Chinese Education was represented validity of amend which is fitting in general system in the grammar as grammar parts, contents, naming and concepts of terminologies, also naming of terminologies was represented well. But rule of concepts of Object and Complement as show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have been ambiguous, superficial. Also, example sentence which can be chaos in the education on site to novice. A chaos of Object and Complement of the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came from ambiguity of statements. So, this paper proposed to correct rule of concepts as follows; -Object is `Predicate represent behavior or existence and Object became the object` in the past but Object is `Predicate represent recognition, comparison, designation, thinking and Object became the object in the as amended. -Complement is `Predicate represent behavior or condition and Complement support meaning fully in the past but Complement is `Predicate represent condition or equal connection and Complement support meaning of condition, equal connection in the as amended. As above, this paper proposed to specify rule of Predicate of Object and added to recognition, comparison and designation in the action items. Also, omit `behavior` item in the statement of Predicate of Object and rule of concepts proposed to move definition items `existence or possession` in the rule of Object and proposed to add to describe be verb which represent `equal connection`. Nowadays, Chinese grammar is not Object for using in language`s life, it is tool for reading comprehension which is describing systematic phenomena school as recorded. Therefore School grammar must be described the basis on Scholarship grammar. Above all, considering to school on site, it need to develop for learning which could be explained and understoo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