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한문 과목의 언어와 문화적 성격은 중학교 언어와 문화 관련 과목에 제시된 언어와 문화적 성격과 차이가 있다. 중학교 언어 관련 과목들은 현재에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로 사용되고 있는 언어를 다루므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모두 학습한다. 그러나 한문은 현재 실생활에서 사용하지 않는 고전어이므로, 한문 과목은 네 가지 언어 기능에서 단지 읽기 영역의 학습만이 가능하다. 또한 중학교 문화 관련 과목들은 한글로 번역된 한문을 대상으로 교과 고유의 학문적 가치에 기초해 비판적인 안목을 기르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한문 과목은 다양한 한문 문장들을 번역하여 그 의미를 바르게 이해하는데 초점이 놓여 있다. 개정 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으로 7차 교육과정에서 대영역이었던 `한자어` 영역이 중영역인 `어휘`로 바꾸어 한문 과목의 독자성을 강조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7차 교육과정이 언어생활에서의 활용을 통하여 실용성을 중시하는 어휘 교육에 중점을 두었다면, 개정 교육과정은 한문의 독해를 통하여 독자성을 강화하는 한문 문장의 학습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문 과목에서 한문 문장의 학습을 강조하면 독립 교과로서의 독자성이 부각되고, 한문 어휘의 학습을 중시하면 언어생활에서의 실용성이 강화된다. 따라서 한문 과목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한문 문장을 통한 독자성의 강조와 함께 언어생활을 통한 실용적 측면이 중시되어야 한다.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한문 교과서를 개발함에 있어서는 어휘 영역에서 제시된 내용의 수준과 범위를 학년별로 고르게 배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개정 교육과정의 `어휘` 영역에 제시된 영역별 내용은 7차 교육과정에 비하여 사용된 용어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학습할 내용이 지나치게 많다. 이들 내용을 학년별, 영역별 적절한 고려 없이 무리하게 제시하면 교과서가 내용 중심에서 벗어나 문법 위주로 흐를 가능성이 적지 않다. 따라서 중학교 한문 교과서는 한문 교과의 정체성과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는 어휘 교육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학생들이 `어휘` 영역에 제시된 영역별 내용이 3개 학년에서 수준별로 고르게 학습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The language and cultural characteristic of the Chinese character subject are different from the language and culture related subjects in the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All of the language related subjects include the four fields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writing because they are dealing with the language which is being used today as the spoken and written language. But Chinese character is a classical language which we don`t use any more in our daily life. So only the reading part of these fields is possible to study. And the culture related subjects have their characteristic to foster a critical eye based on the unique scholastic value for the subjects with the Chinese sentences that have already been translated into Korean. But Chinese character subject aims at the accurate understanding through the translation for various sentences. One of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the revised curriculum can be stated as the emphasis of the independence of the Chinese character subject by changing to middle realm, `vocabulary` from large realm, `Chinese character language` of the 7th curriculum. This means the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 sentences by enforcing the individuality through reading, while the 7th curriculum laid stress on the vocabulary education to enforce the practicality through the use in the real life. In the Chinese character subject, when we emphasize the study of the sentences, the individuality as a inde pendent subject will be highlighted and when we attach importance to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studying, the practicality with the language life will be enforced.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e identity of Chinese character subject, the practical point through the real language life should be accounted as well as the emphasis of the individuality through the sentence reading. It is very important to distribute the level and range of the vocabulary realm evenly by school year when we make the middle school text by the revised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vocabulary part of the revised curriculum have too many terms and volumes to study, comparing to the 7th curriculum. If it is presented without considering proper distribution by grade and realm, there`s a possibility for the text to lean toward the grammar side from content side.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vocabulary study, for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identity of the Chinese character subject, the text for the middle school Chinese character should be developed to distribute evenly by school year and level for prop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