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북부 구주 지역은 선사시대부터 한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도자사적 관점으로 볼 때 11세기 중반부터 14세기 말까지 중세기에는 청자와 무유도기를 중심으로 활발한 교류가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북부 구주에서 출토된 고려 도자의 흐름은 4기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11세기 후반으로 여일간의 정식 국교 회복과 더불어 고려 도자가 북부구주지역으로 처음으로 들어왔다. 둘째, 12세기 전반으로 양질 청자와 더불어 조질 청자의 양이 많아지면서 민간 교류가 더욱 활발해졌다. 셋째, 12세기 후반에서 14세기 전반으로 일본 도시부에서 고려 청자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하카타(博多)에서 고려 도자의 출토량이 급격히 줄어들었다. 넷째, 14세기 후반으로 왜구나 중국 명나라의 해금정책을 배경으로 고려도자의 수입량이 늘어나는 양상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북부 구주 지역 출토 고려 도자에서는 고대와 달리 확실한 미적 가치 기준과 공식적 무역 체제의 정립을 엿볼 수 있다. 이것은 다른 일본 내륙부 지방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것으로 북부 구주는 여일교역의 흔적을 그대로 말해주고 있다고 하겠다.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ern Kyushu (Japan) and Korea had been very kin from pre-history era. Goryeo pottery excavated from northern Kyushu area proved to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rade between Goryeo and Japan in Medieval era. This kind of Goryeo pottery will be presented in four periods. Second half of the 11th century: After official trade started between Goryeo and Japan, Goryeo pottery begin to appear archeological site in North Kyushu area. First half of the 12th century: With increasing of private trade between Goryeo and Japan, not only high quality celadons but also low quality celadons begin to increased. Second half of the 12th century to first half of the 14th century: Despite of Japanese aristocracy in Kyoto, Kamakura regarded Goryeo celadon as high-quality articles, imported Goreyo pottery passed away from northern Kyushu. Second half of the 14th century: Due to Ming-period ban on private trade and invadion of Japanese pirate, imported Goreyo pottery in norhern Kyushu increased again. Imported Goryeo pottery in northern Kyushu show the standard of aesthetic values and system of official trade in medieval Japan. Such changing process can be seemed not other area in Japan only northern Kyush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