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후보
부산,경남지역 고대 장송문화의 정체성과 접변양상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and Progressive Assimilation of the Ancient Funeral Culture of Busan and Gyeongnam
김재현 ( Jae Hyeon Kim )
석당논총 37권 299-344(46pages)
UCI I410-ECN-0102-2009-910-019884471

본 연구는 부산·경남지역을 대상으로 한 고대 장송문화에 대한 연구로 현재까지 발굴 조사된 유적 중에서 시대별로 인골이 발굴된 유적들을 그 대상으로 하여 신석기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를 살펴보았다. 대상 유적은 신석기시대 유적인 범방패총, 동삼동패총, 욕지도유적, 연대도유적, 진주 상촌리유적, 청동기시대 유적인 진주 대평 옥방유적, 어은리유적, 본촌리유적을 검토하였다. 또한 초기 철기시대유적은 조도패총과 늑도유적을 검토하고 삼국시대 유적은 김해 대성동고분군, 고성 송학동고분, 김해 예안리고분군, 함안 도항리 8호분, 창녕 우강리고분군, 창녕 송현동고분군, 김해 유하리고분을 분석하였다. 그 방법에 있어서는 먼저 각 유적별 사례를 검토하여 각 시대별 유적에서 공통되어지는 장송의례상의 유사점을 파악하고 또 지역별 차이점이나 예외적 성격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시대별 특징이나 차이점들이 그 다음의 시대들과는 어떻게 관련 내지는 차이점를 보이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결과, 부산·경남지역의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욕지도나 연대도의 경우 頭向을 바다로 둔 伸展葬의 형태를 보인다. 그러나 연대도 5호묘 성년 여성의 경우는 伏葬이, 범방패총에서는 屈葬이, 동삼동에서는 옹관묘가, 진주 상촌리유적에서는 火葬한 성인의 인골을 토기에 담아 집 안에 둔 예도 나와서, 이미 신석기시대부터 장송의 다양성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동일한 묘역에서 나타나고 있어서 이질적 성격의 다른 집단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청동기시대에도 계속되어 伸展葬과 함께 屈葬이 사용되어 진다. 그리고 斷首나 服喪拔齒와 같은 의례행위도 확인된다. 초기 철기시대는 伸展葬을 비롯하여 어린이의 경우는 옹관묘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屈葬과 伏葬, 어린이와 여성의 合葬도 확인된다. 그러나 두향은 규칙성을 보이지 않으며 어린이와 성인이 구분된 묘역을 가졌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삼국시대 부산·경남지역은 목곽묘나 석곽묘, 석실묘, 모두 伸展葬이 정착화 된다. 이 시기의 묘제에서는 屈葬과 같은 다른 형태의 매장방법은 보이지 않으며 두향도 일정하지 않다. 더욱이 석실묘의 경우, 최종 피장자는 모두 伸展葬을 유지하는데 비해 먼저 매장된 피장자는 모두 拾骨되는 형태를 보인다. 또한 두향에 대한 의미도 대부분의 석실묘에서는 석실의 축과 상관없이 입구 쪽과 반대되는 석실 안쪽으로 피장자의 두향을 향하게 하고 있으며 이것 역시도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어서 경우에 따라 입구 쪽으로 두향을 둔 경우도 발견되어진다. 그리고 고분군의 구성에서는 예안리와 같은 일반계층의 고분군에 친족관계가 우선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대형 고분의 경우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점은 한국 남부지방 고분사회 발전의 특질내지는 한계성을 나타내는 것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cient funeral culture of Busan and Gyeongnam.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examined remains from which human bones were excavated. Those remains include Beombang and Dongsam-dong shell mounds and Yokjido, Yeondaedo and Jinju Sangchon-ri remains in Jinju, all of which were formed in the New Stone Age, Jinju Daepyeong Okbang, Eoeunri and Bonchon-ri remains, all of which were formed in the Bronze Age, Jodo shell mound and Neukdo remains of the early Iron Age, and Kimhae Daeseong-dong, Goseong Songhak-dong and Kimhae Yean-ri tombs, Haman Dohang-ri tomb No. 8 and Changnyeong Songhyeon-dong and Kimhae Yuhari tombs, all of which were formed i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he researcher investigat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way of burying for among the above mentioned remains in accordance with their times and regions. Then the researcher examined how those similarities or differences were related from age to ag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oncerning remains of the New Stone Age located in Busan and Gyeongman, sinjeonjang, which means making the head of the dead direct towards the sea, was found in Yokjido and Yeondaedo remains. Bokjang was found in tomb No. 5 of Yeondaedo remains, where a dead adult woman was buried, guljang in Beombang shell mound and a jar burial tomb in Dongsam-dong shell mound. In Jinju Sangchon-ri remains, a house was discovered, where an earthen vessel containing bones of a cremated adult is kept. Thus there were various ways of burying already in the New Stone Age. Since they were often found in a same area of tombs, those ways are not heterogeneous to each other. Different ways of burying were used also in the Bronze Age, when both sinjeonjang and guljang were often used and funeral rites like dansu and boksangbalchi were performed. In the early Iron Age, sinjangjeon and, especially for children, jar burial were used. In addition, different types of guljang and bokjang and burying a woman and a child together were found used in the same age. The head of the buried was not uniform in direction. Probably children and adults were separately buried in different tomb areas. Wood-lined, stone-lined and stone-chamber tombs of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excavated in Busan and Gyeongnam, all used sinjeonjang. In tombs of the same period, other ways of burying like guljang were not found and the head of the buried was not uniformly directed. Yean-ri tombs where ordinary people were buried were found formed on the basis of kinships among those people. This was also true to other large-sized tomb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