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초기의 國屯田은 그것이 위치한 境內의 軍卒(鎭戌軍)을 동원하여 농사를 짓고 수확하여 軍資에 보충하는 용도의 전토였다. 그리고 官屯田은 州府郡縣 등 행정기관과 浦鎭 등 군사기관에 公須 衙祿田 만으로 부족한 관청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설치된 토지였다. 조선왕조는 國屯田의 확대에 주력하였고, 한편으로 官屯田의 定限制를 시행하여 나갔다. 중앙이나 지방의 각급 관청은 각 지방의 閑曠地에다 屯田을 설치하고 개간하였다. 조선 초기의 주요한 國屯田인 밀양 守山堤 國屯田은 1463년 曹錫文이 호조판서로 있을 때 설치되었다. 수산제 국둔전은 守山堤 인근을 開墾한 것인데 水田 200여 結에 달하였다. 1467년에 曺錫文이 수산제 제방을 증축하고 內外에 水門을 설치하면서 수산제 國屯田이 제자리를 잡게 되었다. 수산제 國屯田의 地勢가 낮아서 비가 많이 내리면 沈沒한다는 지적에서 알 수 있듯이 수산제 제방은 貯水用이 아니라 防水用이었다. 수산제 국둔전은 조선 초기 低地, 低濕地 개간의 대표적인 실례로 지적할 수 있다. 조선 초기 밀양 守山堤 國屯田의 농업경영방식은 처음에 戍卒 즉 船軍을 활용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밀양 부사가 농사짓는 과정을 감독하고 나중에 수확한 곡물을 관리하는 책무도 맡는 방식이었다. 그런데 中耕除草 등의 작업에 府使가 境內의 民을 동원하는 일이 벌어지곤 하였다. 그리고 밀양에 거주하는 奴를 동원하여 농사를 짓게 하는 방식이 건의되기도 하였다. 결국 船軍이나 正兵을 이용하는 농업경영이 이루어지고 있던 상황에서도 백성들에게 나누어주고 幷作시키는 방식과 아예 수산제 國屯田을 혁파하고 백성들에게 경작하는 것을 허락하는 방안도 계속 논의되었다.
There were consisted of two kinds Dunjeon early in the Joseon Era. The one was called by Gukdunjeon, and the other called by Gwandunjeon. Gukdunjeon was the land cultivated by soldiers regularly stationed in the area. Gukdunjeon was established by Joseon Dynasty, in order to amass farm products preparing for unpredictable war. Susanje Gukdunjeon was the well-known Gukdunjeon, which located at Milyangbu in Gyeongsang province. This paper aims to explain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Susanje Gukdunjeon. Susanje Gukdunjeon was established by the leading of the minister of Hojo, Jo SeokMun in A. D. 1463. It reached to about 200Gyeol in size. We have to memorize that there was close connection between establishment of Susanje Gukdunjeon and construct of Susanje. Susanje was the bank which constructed in Susanli Milyangbu, in order to protect crop field from the intrude of river water especially in rainy season. Susanje Gukdunjeon was one of the most typical example of low and swampy land development early in the Joseon Era. Susanje Gukdunjeon was cultivated by various kinds of peasants. Namely Joseon dynasty utilized various methods of management of Susanje Gukdunjeon. At first and basically, common soldiers in Milyangbu, called by Sugun or Sujol, cultivated Susanje Gukdunjeon. By the way some officials proposed the taking land-rent from tenant farmer whom distributed parts of Susanje Gukdunjeon. Those officials insisted the merit of taking land-rent in the point of gathering more crops. After the end of the 16th century, we had little information about Susanje Gukdunjeon, but it is absolutely right that Susanje Gukdunjeon was the most important example of Gukdunjeon early in the Joseon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