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5.81.198
3.145.81.198
close menu
}
지역사 연구의 경향과 과제
The Trend of Research on Regional History and Its Problems
김광철 ( Kwang Cheol Kim )
석당논총 35권 247-273(27pages)
UCI I410-ECN-0102-2009-910-019884608

지역사는 지역의 경제·정치·이데올로기 영역을 총체적·계기적으로 파악하여 민의 구체적인 삶의 모습을 드러내는 학문 영역이다. 지역사는 민족사 전체를 구성하는 한 부분으로서의 의의를 갖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독자적인 특징과 가치를 가지며 민족사 보다는 좀더 구체적이고 사실적이다. 민족사 또는 국가사가 자칫하면 제도나 구조의 문제에 치우쳐 사회의 구체적 모습을 결여하기 쉽지만, 지역사는 이를 생동감있게 서술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역사가 지역이라는 공간을 매개로 하여 살아온 인간들의 역사여야 함에도 지금까지 드러난 지역사의 내용과 그 유형은 일정치 않다. 지역공동체의 구조와는 상관없이 유물이나 특정사건을 자기 취향에 따라 수집하고 나열식으로 서술한 경우가 있는가 하면, 국가사 연구의 보조수단으로 삼으려는 이른바 `擬似지역사`, 지역사를 독립적인 학문분야로 설정하여 공동체 전체의 역사로 이해하려는 `정통지역사`가 있다. 그동안 지역사 연구는 지방행정, 지역조직 또는 향촌사회조직, 지방세력, 지역문화, 지역별 민중운동과 민족해방운동 등을 대상으로 폭넓게 진행되어 왔다. 그럼에도 아직까지는 지역주민의 생생한 삶의 모습을 담은 민중 생활사로서의 지역사를 드러내는 데 성공을 거두었다고 볼 수는 없다. 그 까닭으로는 먼저 지역사 연구가 여전히 국가사 또는 민족사 연구 일환으로 시도되고, 그것도 사례연구로서의 성격을 지니는 것들이 많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지역사 연구가 연구자의 관심 영역에 따라 개별 분산적으로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지역의 구조와 특징을 총체적으로 드러내는데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과제들이 어느 정도 해결될 때, 지역사는 지방행정사 또는 지방정치사로서의 성격을 극복하고 지역공동체의 역사, 민중 생활사로서의 모습을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사의 인식 및 연구방법과 서술체계를 심도있게 모색해나가야 할 것이며, 자료의 수집과 정리, 그리고 채록을 통해 지역사 연구의 토대를 마련해야 하고, 지역사연구 전문단체의 설립, 지역사의 대중화라는 과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Regional history is an academic genre that shows the realistic lives of people through the general and momentary understanding of the economical, political and ideological aspects of an area or region. Regional history has not only its significance as a part of whole ethnic history but also represents its own original characteristics and values, and might be more concrete and real than ethnic history. Ethnic history or national history is likely to fail to show the concrete aspects of a society due to its institutional or structural problems, while regional history has the advantage of describe them virtually. Although regional history should describe real people in the space of a local community, its content and style up to now have been inconsistent. Some cases describe events after collecting and arranging certain vestiges or events in a row according to describer`s intention regardless of the community`s systematic structures and other cases as pseudo-regional history play an assistant role in researching national history. However, orthodox regional history as an independent genre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whole community history. Research on regional history has widely been conducted on the subject of local administration, local system, the social system of country villages, local powers, local culture, regional popular movements and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In spite of these studies, regional history has not succeeded to express its identity as popular history which includes vivid descriptions of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The reason is because research on regional history is still conducted as part of research on national history or ethnic history and futhermore, most of them are case studies. The next reason is because the research is limited to describing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generally owing to conducting research individually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er`s interest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unless these problems are solved, regional history can never overcome the limitations of local administrative history or local governmental history and contribute as the history of local community and people`s lives. In order to do thi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cognition of regional history, approaches to it and a narrative system of describing it should be made, so that the foundation of research on regional history should be made by collecting, selecting, arranging and recording data and that professional organization for research on regional history should be established for its populariz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