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17.246.20
18.217.246.20
close menu
}
고성(固城) 송학동(松鶴洞) 제1호분(第1號墳) 축조수법(築造手法)과 내부구조(內部構造)
Construction Methods and Internal Structure of Tomb 1 in Songhakdong, Goseong
심봉근 ( Bong Keun Sim )
석당논총 35권 1-42(42pages)
UCI I410-ECN-0102-2009-910-019884668

송학동고분의 분구는 구릉위에 점질토와 산토를 이용하여 조산한 다음 그 속을 파서 유구를 배치하고 가장자리에는 단절형 주구를 배치하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유구의 형태나 구조에 있어서는 개별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1A호분은 다곽식으로서 가야지역 고유의 전통묘제라고 할 수 있는 수혈식석곽 11기가 축조시기를 각각 달리하면서 설치되어 있는데 개중에는 장벽을 연장해서 추가장이 행해진 흔적을 남기기도 하고, 석곽 내부에 구유형 목관을 설치한 흔적도 있다. 따라서 1A호분은 가야지역 묘제의 전통을 비교적 잘 지킨 보수성이 강한 것이라고 평가될 수 있으며 동일 분구 내에 설치된 다곽식고분이라는 점에서 그 축조 시기는 대략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전반에 해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유구에 따라서 그 선후관계는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1B호분은 전기한 1A호분과 동일 구릉상의 묘역 내에 근접해서 위치하지만 묘제는 당시 가야지역에서는 생소한 새로운 묘제인 석실 서쪽에 묘도, 연도, 양수식 현문을 가진 횡혈식 석실 유구가 설치되어있다. 그리고 석실과 연도 내부는 붉게 도장되고 석실에는 목재선반과 휘장용 철 못이 설치되는 등 재지적인 요소보다는 외래적인 요소가 강하게 작용된 듯한 느낌을 갖는 것이다. 특히 분구 바깥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된 주구 속에 배치된 적갈색 원통형토기는 더욱 외래적임을 시사케 하고 있다. 이런 외래적인 요소는 인근한 전남지방과 일본 구주지방에서 그 원류를 찾을 수가 있어서 당시 남해연안을 통로를 삼아 상호 교류한 결과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으며 시기적으로는 5세기 말엽에서 6세기 초엽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분구 내에 추가장된 수혈식 석곽도 시기적으로 대차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 1C호분은 전기한 두 고분의 분구 속에 중복해서 설치된 것으로서 6세기 전반에서 중반대로 편년되는 고분이다. 역시 서쪽에 묘도·연도·양수식 현문을 가진 횡혈식 석실이지만 현문에 문비를 비롯한 문주석·문지방석을 갖추지 않은 신식으로 천정은 궁륭상으로 추정되며 상면에 목제 상자를 배치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지막 1E호분 3세기 말엽에서 4세기 초엽으로 그 축조시기가 추정되는 목곽분이다. 송학동 대형고분군 축조이전의 재지세력집단의 분묘로 생각되는데 상호간 약 2세기정도 공백기를 예상할 수 있는 것이다. 원형 봉토와 목곽상부에 유물을 부장하는 방법이 주목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송학동 제1호분은(1E호 유구를 제외한 나머지 고분) 5세기 중반이후부터 6세기 중반 사이 약 1세기간에 걸쳐 축조하여 사용된 고자국 또는 소가야의 왕이나 수장급에 해당하는 자의 무덤으로 추정되지만 각 유구의 특징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즉 1A호분과 1C호분은 재지적인 소가야의 정체성이 강조되는 요소가 대부분인 반면 1B호분은 재지적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외래적인 요소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1B-1호 유구의 경우 피장자의 신분이나 당시 장례절차 등에 대한 어떤 궁금증이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 그것은 이렇게 외래적인 요소가 농후한 고분이 재지적인 요소를 가진 고분군 속에 함께 포함되어 나타나게 된 배경을 당장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송학동1호분이 형태상으로는 전방후원분이 아니지만 그 축조수법이나 유구의 구조와 내부에서 출토된 유물의 특징은 전방후원분이 분포하는 우리나라 전남 해안지방과 일본 구주지방의 고분들과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이런 의문점은 상호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지역 즉 고성지역을 비롯해서 전남지방 그리고 일본 구주지방에 대한 고분의 분석을 통해서 해결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mounds of the Songhakdong tombs were made with the sticky mud and acid clay that was located on the hill. The ruins and the separate Jugu (the drains surrounding the tombs) are in the mounds and this seemed to be the case in most of the Songhakdong tombs. However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each tomb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Tomb 1A, it is a Dagwaksik (several coffins in one tomb) which is a traditional Gaya tomb style. The eleven stone coffins were placed in Suhyelsik chambers (the coffin is placed sideways into the tomb) at different times. Some of them seemed to be used as a second burial and also there are wooden trough-shaped coffins inside the stone coffins.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omb 1A is a very traditional Gay-type tomb and the construction time dates from the late 5th century AD to middle 6th century AD since it is a Dagwaksik style tomb with clear distinctions for each construction time. Tomb 1B is located near Tomb 1A on the same hill, but it was built in a rare and unique style which is a chamber in the mound with aisles, corridors and doors, called a Hwenghyelsik. The stone chambers and the aisles are red with curtain rivets and wooden shelves which show that this tomb is not the traditional style but rather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another country or region. Particularly the reddish brown cylinder shaped vessel (sueki) from the Jugu surrounding Tomb 1B indicates that this tomb was very much under the impact of another area or nation. To some extent, this different style of tomb can be traced back to Jeollanam-do in Korea and Kushu in Japan, so it is possible to presume that Songhakdong and those two areas may have had interactive relationships through the southern coast during the late 5th century to early 6th century. The second tomb in the mound, which is a Suhyelsik stone coffin may have similar time frame with those Hwenghyelsik tomb. To some extent, the construction of Tomb 1C was based on Tombs 1A and 1B, and was built in the early-middle 6th century. Tomb 1C is also Hwengyelsik type with aisles, corridors and doors in the west, but it is distinctive in that there are no tombstones on the chamber door and no written stones for the memory of the death were found. This is a new type of tomb with vaulted ceilings and wooden boxes on the floor. Lastly, Tomb 1E is a wooden coffin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built between the late 3rd century and early 4th century. This may have been the leader in Songhakdong before the tomb styles were influenced by the other areas, which means there was a 2 century gap between Tomb 1E and the others. The mound is circle shaped and there were buried artefacts in the wooden coffin. To sum up this investigation, Tomb 1 (except for Tomb 1E) of Songhakdong is constructed throughout one century from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o 6th century and this is for the leader or king of the Gojaguk or So Gaya with it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Tombs 1A and 1C could be distinguished as traditional and typical So Gaya style whereas 1B seemed to be identified as a tomb influenced by some other culture. So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identity of the master of Tombs 1B-1 is very questionable and also the way they buried the bodies and their funeral system needs to be discovered. In one mound, there are several different types of tombs and it is difficult to say or find the reason why they were all buried together at each different time. But it needs to be understood that Songhakdong Tomb 1 is not a Keyhole-shaped tomb, but the there are pretty heavy similarities in its artefacts, construction methods and interior system from the Songhakdong and Jeollanam-do coastal line and Kushu area. So these similarities would be more fully understood through th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tombs found in these particular area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