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남·북한 양대 국제태권도 기구의 교류가 단순한 통합보다는 민족화해와 협력을 바탕으로 21세기형 민족무예 창출을 위한 대통합이라는 궁극적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추진 방안을 제시해 보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1980년 중반부터 시작된 남·북한 태권도의 통합 논의 및 교류는 냉전 이데올로기의 대립, 올림픽의 정식 종목 채택을 위한 국제스포츠 무대에서의 반목과 경쟁 등으로 1990년대 후반까지 아무런 결실을 이끌어내지 못하였다. 그러나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의 추진으로 인한 북한의 태도변화, 남한 태권도의 올림픽 정식 종목 채택으로 인한 북한 태권도의 생존전략, 국내·외 태권도인들의 태권도 교류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한국의 대표 문화 사업으로 발전시키려는 노력 등은 결국 외면되어온 남·북한 태권도 교류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단계에 이르게 하였다. 둘째, 남·북한 태권도 교류는 타 스포츠 종목과는 달리 교류의 다양화를 꾀할 수 있고, 문화적 분단 상황을 극복함으로써 재외 한인 동포들의 통합과 외국 수련생들이 갖는 태권도의 정체성에 대한 혼돈을 해소하는 문화적 통합의 의의를 갖는다. 또한, 양대 국제 태권도기구가 기술적 제도적으로 화합함으로써 보다 강력한 문화 경쟁력을 갖춘 민족무예인 뉴-태권도를 창출하는데 궁극적인 의의를 갖는다. 또한, 남·북한 태권도 용어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태권도의 이질화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같은 동작을 놓고 용어의 혼돈을 줄이기 위해 한글학자들과 연계로 수 우리말로 된 태권도 동작의 용어정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남·북한 태권도통합 용어사전이 발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the promotional scheme to overcome heterogeneous percep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nd integrate ideology of Taekwondo for rebuilding a 21st century national Martial-artism and promoting the national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rather than simple integra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discussion over integration and exchange of Taekwondo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egun since the mid-1980s, however, there were not much changes until late 1990s. But there occurred the change in the attitude of North Korea by the promotion of "Sunshine Policy" of Kim Dae-jung Administration, the survival strategy of North Korean Taekwondo due to the adoption of South Korean Taekwondo as the formal sports event of the Olympics, sustained efforts for domestic and foreign Taekwondo people to exchange Taekwondo, Korean efforts to develop it into the representative cultural project and the like. These efforts resulted in arriving at the stage for realizing the disregarded exchange of South-North Korean Taekwondo. Second, the exchange of South-North Korean Taekwondo, unlike other sports events, can attempt the diversification of exchange and overcome the culturally divided situation. In this respect, it has a significance of cultural integration that resolves the confusion of Taekwondo identity among foreign Taekwondo trainees as well as the integration of Korean residents abroad. And the technical and institutional integration of both international Taekwondo organizations has an ultimate significance in creating new Taekwondo, national martial arts, armed with more stronger cultural competitiveness. Third,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heterogenization of Taekwondo because there is a great difference in the terminology of Taekwondo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o attain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terms of Taekwondo motions in Korean in linkage with Hangeul scholars to reduce their confusion over the same motion and to publish the dictionary of integrated North-North Korean Taekwondo te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