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SCIE SCOPUS
제2형 당뇨병 입원 환자에서 혈당변동성 지표인 Average Daily Risk Range와 관련된 인자
Average Daily Risk Range-Index of Glycemic Variability-Related Factor in Type 2 Diabetic Inpatients제2형 당뇨병 입원 환자에서 혈당변동성 지표인 Average Daily Risk Range와 관련된 인자
박신애 ( Shin Ae Park ) , 고승현 ( Seung Hyun Ko ) , 이승환 ( Seung Hwan Lee ) , 조재형 ( Jae Hyung Cho ) , 문성대 ( Sung Dae Moon ) , 장상아 ( Sang A Jang ) , 송기호 ( Ki Ho Song ) , 손현식 ( Hyun Shik Son ) , 윤건호 ( Kun Ho Yoon ) , 차봉연 ( Bong Yun Cha ) , 손호영 ( Ho Young Son ) ,
UCI I410-ECN-0102-2009-510-02011631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연구배경: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만성적인 고혈당뿐만 아니라 혈당변동성이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한다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연구는 자가혈당기를 이용한 혈당변동성 지표인 ADRR을 측정하고 이와 관련된 인자들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1월부터 7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에 입원하여 다회 또는 분할인슐린 요법으로 치료한 제2형 당뇨병환자들을 대상으로 자가혈당기를 이용하여 일일 4회, 2주간 혈당을 측정한 후 ADRR 변환식에 의해 환산하였다. ADRR에 따른 혈당변동성의 분포를 살펴보고, 당화혈색소 7%를 기준으로 혈당조절정도를 평가한 후 환자의 연령, 성별, 당뇨병 이환기간, HOMA(IR) 및 HOMA(βcell)에 따른 ADRR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또한 ADRR에 따라 혈당변동군과 비변동군으로 나누어 혈당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았다. 결과: 대상 환자 97명의 평균 연령은 57.6±13.4세, 유병기간은 11.5±8.5년이었고, 평균 당화혈색소는 10.7±2.5%, 평균 ADRR은 26.6±9.8이었다. 혈당비변동군은 18명(18.5%)이었고, 혈당변동군은 79명(81.5%)이었다. 당뇨병 이환 기간, 공복혈당, 식후혈당, fructosamine, 당화혈색소 및 체질량지수와 HOMA(βcell)이 ADRR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체질량지수, HOMA(βcell), 심혈관계자율신경병증 및 당화혈색소가 ADRR과 관련된 독립인자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ADRR은 당화혈색소와 더불어 중요한 혈당조절 및 혈당변동성의 지표로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당뇨병 이환 기간이 길고, 체질량지수가 적고, 당화혈색소가 큰 환자들은 혈당변동성 지표인 ADRR을 계산하고 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Background: It is known that chronic sustained hyperglycemia and its consequent oxidative stress causes diabetic complication in type 2 diabetes. It has been further proven that glycemic variability causes oxidative stres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average daily risk range (ADDR)-index of glycemic variability, and to evaluate relevant variables. Methods: We measured the blood glucose level of type 2 diabetic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multiple daily injections from January to July, 2008. The blood glucose levels were checked four times a day for 14 days and were conversed according to the ADRR formula. The degree of glycemic variability was categorized into non-fluctuation and fluctuation groups. We collected patient data on age, sex, duration of diabetes, body mass index, HOMAIR, HOMA βcell and HbA1c. Results: A total of 97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mean age, duration of diabetes, HbA1c and mean ADRR were 57.6±13.4, 11.5 ±8.5 years, 10.7±2.5%, and 26.6±9.8, respectively. We classified 18.5% of the patients to the non-fluctuation group, and 81.5% to the fluctuation group. ADR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uration of diabetes, fasting and postprandial glucose, fructosamine, HbA1c and BMI and HOMA(βcell).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BMI, HOMA(βcell) and HbA1c were ADRR-related independent variables. Conclusion: ADRR can be used as an index for blood glucose fluctuation in type 2 diabetic patients. Measuring ADRR in patients with low BMI and a long duration of diabetes is helpful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ir care. (Korean Diabetes J 33:31-39, 2009)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