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춤 중 검무(劍舞)는 이 땅의 역사만큼이나 오랜 연원(淵源)을 지니고 있는 춤이다. 상고시대의 수렵무용(狩獵舞踊)이나 의례무용(儀禮舞踊) 혹은 전투무용(戰鬪舞踊)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는 검무는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그 맥(脈)을 이어오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 전통춤이다. 공연의 형태를 갖춘 검무의 출현은 삼국시대 신라의 황창랑(黃昌郞) 설화에 기인한 황창검무(黃昌劍舞)로, 가면을 쓰고 동자(童子)에 의해 추어진 동자가면무(童子假面舞)의 양식이다. 황창검무는 고려시대에도 전승되어 조선시대 초까지 처용무와 함께 연희되었다. 반면 황창검무와 다른 양식의 검무가 출현한 것은 조선시대 숙종 이후로 가면을 벗고 여기(女妓)에 의해 추어지는 여기검무(女妓劍舞)의 형태가 나타난다. 여기검무는 정조 때 궁중정재로 정착되면서 궁중연향(宮中宴享)의 성격에 맞도록 연행 규모가 커지고 의상도 화려해 졌으며, 참여한 여기의 숫자도 많아지는 변화를 보인다. 즉 궁중무용으로 채용되면서 여러 가지 격식이 갖추어졌고 공연형식도 보다 예술적으로 발전하였다. 궁중정재의 하나로 조선후기 각종 연향의 공연 종목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예술적으로 한층 다듬어지고 세련되어진 여기검무는 궁중 연향에 참가하기 위해 궁중으로 선상(選上)된 각 지방 교방의 기녀들에 의해 전국적으로 전파되면서 각 지방의 독특한 특색을 담은 현재의 향제(鄕制) 여기검무 양식을 파생시켰다. 현재 각 지역에서 전승되는 진주검무, 통영검무, 호남검무, 경기검무, 서울검무, 해주검무, 평양검무 등은 이러한 역사적 근원을 지니고 있다. 조선후기는 궁중연향에 참가한 각 지방 교방청(敎坊廳) 소속의 기녀들간의 상호접촉과 기예의 교류가 활발했기 때문에 교방청의 여기들에 의해 각 지역에 정착되어 전승되고 있는 여기검무는 예술적 형식(복식구성, 장단구성, 춤의 진행방식)에 있어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무구(舞具)인 칼의 모습과 반주음악, 춤사위 등은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향제(鄕制)의 서로 다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조선시대 궁중기록과 여러 문인(文人)들의 검무시(劍舞詩) 및 풍속화를 통해 세밀히 묘사된 여기검무가 궁중 및 민간의 연향에서 널리 공연되었고 지금까지 전승되는 이유는 예술성이 뛰어난 춤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여기검무는 군무(群舞)로 전승된 춤이기에 홀춤에 비해 개인의 의지로 인한 춤사위의 변형이 많이 이루어 지지 않아 한국 전통춤의 원형적 춤사위를 간직한 소중한 춤이다. 따라서 체계적인 전승을 통해 앞으로도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춤으로 보존되어야 한다.
The following is general and regional features shown in yeogi geommu (sword dance performed by female entertainer) in Korea: Firstly, the costume of yeogi geommu in Korea has generality in putting on Korean skirt and jacket, koeja(combat uniform), jeondae(Korean money belt) and jeonlip(hat for soldiers) appeared on ancient documents for dance called uigwe. However, it has variety in colors that reflect regional features. Dancers also wear hansam(additional sleeves put on the wrists) that is not described on uigwe, which is a peculiarity of yeogi geommu in southern Korea. Secondly, with regard to sword as prop for yeogi geommu in Korea, jinju geommu(sword dance especially performed in southern province called Jinju) uses the former style of sword restored from uigwe, with the blade that one can not turn. And yeogi geommus of the other areas use the sword with the turning blade, but they use regionally different sword in its material and length. Thirdly, regarding jangdan(rhythm) used for yeogi geommu in Korea, it has general composition of mixing yeombul jangdan, taryeong jangdan, jajintaryeong jangdan etc. However, melody uses regionally different orchestration, which is called hyangje samhyeon yuggak. Fourthly, dance vocabularies of yeogi geommu in Korea are generally composed of hansam dance, hand dance with standing or sitting postures, sword dance with standing or sitting postures, yeonpungdae(on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vocabularies, which refers to turning oneself around as dancer makes a big circle), jehaengimu. But they are expressed with various movements that reflect regional features. Fifthly, yeogi geommu in Korea uses space by changing formations such as formation in double columns, round formation, and formation in single line etc., to express its dynamic features. In addition, hansam dance in each region has some unique variations in formation and its accompanying rhythms are regionally different. Sixthly, to explain the common procedure of yeogi geommu in Korea with consideration of music progression, type of dance vocabularies, and formation, the former half part starts with slow rhythm and formation in double columns to dance with or without hansam, followed by some dramatic change with faster rhythm to dance with swords in hands in sitting, face-to-face posture. The latter half slows down the rhythm to develop another sword dances, followed by reaching to the climax with faster rhythm, changing formation to yeonpungdae, and putting an end to dance in single line. The artistic value of yeogi geommu made it exuberantly reproduced in other arts, widely performed in both court and country, and succeeded to the present. It also has value of reference because it contains the original form of Korean traditional dance without any transformation of dance vocabularies due to its form of group dance, contrary to the solo dance with many personal variations occurred. Therefore, it needs to be preserved as one of representative Korean traditional dances through systematic succ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