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이온수와 복합광물질 급여가 비육돈의 지방산 및 아미노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Ionized Water and Premixed Mineral on Fatty Acid and Amino Acid Composition in Finishing Pigs
진상근 ( Sang Keun Jin ) , 김일석 ( Il Suk Kim ) , 송영민 ( Young Min Song ) , 강석남 ( Suk Nam Kang ) , 제윤종 ( Yun Jong Je ) , 오희석 ( Hee Suk Oh ) , 민찬식 ( Chan Sick Min )
UCI I410-ECN-0102-2009-520-02009012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아연을 주로 하는 이온수와 규소 성분이 주인 복합광물질을 급여시 돈육의 일반성분, 식육 콜레스테롤, 지방산 및 아미노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CON(0%), T1(이온수) 및 T2(이온수+복합광물질)로 처리하였으며, 출하 전 66일간 사육하였다. 일반성분 및 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방산 조성의 경우 다른 처리구에 비해 T2의 palmitic acid, linoleic acid, arachidonic acid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oleic acid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포화지방산(STA)의 경우 T2(28.54%)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불포화지방산(UFA) 및 UFA/SFA의 경우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필수지방산(EFA) 및 EFA/UFA은 T2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 중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glutamic, alanine, leucine, lysine은 T1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serine, valine, isoleucine은 T2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총 아미노산 함량 및 필수아미노산(EAA)는 T1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이온수 및 복합광물질의 급여가 돼지의 지방산중 SFA를 증가시키고, UFA를 감소시켰으며,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을 증가시킴을 증가시켜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on water and premixed mineral supplementation on the growth performance, carcass, and meat quality parameters in finishing pigs (LY×D). Each 20 pigs were randomly allotted to three treatments; CON (basal diet), T1 (CON diet added active water), T3 (T1 diet added 1.0% premixed mineral). Used ion water and premixed mineral consisted mainly of Zn and Si, respectively. Cholesterol content (mg% meat) were not differ significantly in the samples, however, the ratios of cholesterol to fat in T1 and T2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p<0.05). The fatty acid qualities of palmitic acid, linoleic acid, arachidonic acid, SFA (saturated fatty acid), EFA (essential fatty acid), and EFA/UFA ratio were the highest significantly, however, those of the oleic acid, UFA (unsaturated fatty acid), and UFA/SFA ratio were the lowest significantly in T2 (p<0.05). The amino acid levels of glutamic acid, alanine, leucine, lysine, total amino acids, and EAA (essential amino acid) were the highest in T1 (p<0.05). Whereas, the levels of serine, valine, isoleucine were the highest in T2 (p<0.05). Th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ionized water and premixed mineral affects fatty acid composition and improves amino acid composi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