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실리우스는 신학역사상 처음으로 `우시아(ousia)`와 `휘포스타시스(hypostasis)`의 개념을 분명하게 정립하고 그 관계를 논한 교부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바실리우스의 「성령론(De `Spiritu Sancto)」에 나타난 `우시아`와 `휘포스타시스`의 개념을 고찰하고, 삼위일체론 역사에 있어 바실리우스의 공헌을 파악하는 데 있다. 「성령론」에 나타난 `우시아`와 `휘포스타시스`라는 단어와 관련 어휘들을 찾아서 구문론적, 의미론적, 화용론적으로 고찰한 결과, `우시아`가 `본성`으로, `휘포스타시스`가 `위격`으로 주로 사용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물론 바실리우스 역시 아타나시우스처럼 `우시아`와 `휘포스타시스`를 `존재`라는 개념으로 동일하게 생각하기도 했었다. 그러나 바실리우스는 그 개념들을 더 발전시켜 `우시아`와 `휘포스타시스`를 서로 구분하며, 각각에 대해 명확한 개념을 부여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 `우시아`는 주로 추상적이고 존재론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단일한 본성적 개체를 뜻하며, `휘포스타시스`는 다른 대상과의 관계에서 봤을 때 구별되는 객관성을 지난 개체를 강조할 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우시아`는 하나님의 존재나 본질적 독자성을 뜻한 반면에, `휘포스타시스`는 하나님의 특별한 방식의 존재를 나타내거나, 각 위격의 존재 방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바실리우스의 가장 큰 공헌은 `우시아`와 `휘포스타시스`의 관계를 설명하려고 시도하는 점에 있다. 바실리우스는 하나의 신성이 삼위에 대해 가지는 관계가 하나의 보편개념이 개별화되어 현실적으로 드러나는 것에 비유하여 설명했다. 즉 바실리우스에게 있어 삼위 하나님의 각 위격의 개념은 보편적 신적 본성과 특수한 성질의 결합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는 일신론과 삼신론의 위험을 피하고, 우리에게 좀 더 분명한 삼위일체론을 전수해 주고 있다.
Basil the Great established the concept of `ousia` and `hypostasis` and took into account their relationship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theology. This paper deals with these concepts in his work De Spiritu Sancto and researches his contribution in the history of Trinitarian doctrines. All the words of `ousia` and `hypostasis` and all the references to these two technical terms are examined in a syntactic, semantic, and syntagmatic approach. These terms hadno concrete meaning before Basil the Great. Athanasius, for example, thought that `ousia` is `hypostasis` and they all mean "Being itself." However, Basil the Great defined `ousia` as "essence(=physis)" and `hypostasis` as "person" in a clearer way. He used a metaphor of the general and particular relationship to explain these two concepts. `Ousia` means a single and abstract unit, of which the individuality is disclosed by means of internal analysis. In the sense of `hypostasis` the emphasis lay not on content, but on externally concrete independence and the relation to other objects. For Basil the Great, `ousia` means the existence or essence or substantial entity of God, whereas `hypostasis` signifies the existence in a particular mode, the manner of being of each of the Persons. Basil the Great tri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of `ousia` and `hypostasis` and that is his greatest achievement. He explained this relationship in a metaphor in which one general essence is revealed with an individualized property. For him, each divine Person is a union of general divine essence and particular characteristics. In this way, Basil the Great escaped the danger of unitarianism and tritheism and firmly taught us the doctrine of Tri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