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89
216.73.216.89
close menu
벼에서 RAPDs 분석에 의한 유전적 거리와 잡종강세와 상관
Relationship Between Heterosis and Genetic Distance as Measured by RAPDs Analysis in Rice
안상낙(Sang Nag Ahn),곽태순(Tae Soon Kwak),강경호(Kyung Ho Kang),전용희(Yong Hee Jeon),최해준(Hae Chune Choi),문헌팔(Huhn Pal Moon)
UCI I410-ECN-0102-2008-520-00141248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RAPDs 분석에 의한 유전적 거리와 잡종강세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RAPDs marker가 F₁의 잡종 강세 예측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자포니카 6개 품종 (설악벼, 철원34호, 이시오까모찌7, 신2호, RAC3, 삼남벼) 간의 반이면 교배 F₁(15조합)을 작성하였다. 6개의 모본과 15개의 F₁을 포장에 공시하여 수량 등 8개의 주요 특성을 조사하는 한편, RAPDs 분석을 이용하여 양친 간의 유전적 거리를 조사하여, 양친의 유전적 거리와 양친 간의 F₁ 식물체의 잡종강세 정도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20개의 오페론 프라이머를 6개 품종의 genomic DNA 증폭에 이용한 결과 전체 336개의 (프라이머당 평균2.8개)의 밴드가 발생되었으며 이 중 96개가 6개 품종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품종에서 변이를 보였다. 2. 6계통 15조합의 Nei의 유전적 거리는 최소 0.015 (설악벼와 철원34호 간) 최대 0.104 (설악벼와 이시오까모찌 7간)의 분포를 보였다. 3. 잡종강세의 정도는 형질 간에 차이를 보였는데 정조수량 (29%), 수당립수 (17%), 주당수수 (8%) 등이 높은 잡종강세를 나타냈다. 4. 정조수량, 천립중, 수당립수는 유전적 거리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는데, 이 결과로 보아 RAPDs에 의한 유전적 거리는 자포니카 품종 간 일대잡종의 잡종강세 및 수량성의 예측에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ix japonica rice breeding lines ($quot;Seolagbyeo$quot;, $quot;Cheolweon 34$quot;, $quot;Ishiokamochi 7$quot;, $quot;Shin 2$quot;, $quot;RAC 3$quot;, and $quot;Samnambyeo $quot;) were crossed in all possible non-reciprocal pairs resulting in 15 crosses. The 15 F₁ hybrids along with the six parents were evaluated for eight traits of agronomic importance including yield in a replicated field trial. The six parents were examined for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s (RAPDs) markers with 120 random decamer oligonucleotide primers known to amplify rice DNA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120 primers amplified 336 bands with a mean of 2. 8 bands. Out of 336, 96 bands (28. 6%) differentiated at least one from the other varieties. Strong heterosis was observed in hybrids for most of the traits, and yield exhibited the highest heterosis among the eight traits examined. For the 15 diallel crosses, hybrid performance for yield (0. 49), 1,000-grain weight (0. 67) and culm length (0. 52)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enetic distance. Genetic distance also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id-parent and better-parent heterosis in yield, 1,000 grain weight and spikelets per panicle. These results seem to indicate that genetic distance measured based on RAPDs is useful for predicting yield and its heterosis of intra-subspecific (japonica) hybrid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