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스포츠의 국제교류와 협력이 활발해지면서 스포츠법의 연구도 블록별로 이뤄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한, 중, 일 3국을 중심으로 스포츠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른 아시아 국가들 간의 스포츠에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대처 방안도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으며, 아시아스포츠법학의 연구가 새로운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아시아국가들 간의 빈번한 스포츠교류의 현상에서 이제 아시아 국가 간의 스포츠교류와 협력을 뒷받침할 법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아시아스포츠법의 개념과 내용을 새롭게 정립하고, 서로 다른 법제도를 비교 연구하여 조화와 통일을 이루는 길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우선 이러한 아시아스포츠법의 필요성과 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아시아법의 분과로서 <아시아스포츠법>의 개념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둘째, `아시아스포츠법의 비교연구는 왜 필요 한가?`에 대한 해답을 구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해답을 아시아스포츠교류와 협력, 아시아법제의 연구, 아시아법계와 법체계의 정립, 아시아스포츠법의 통일과 조화 등에서 아시아스포츠법의 비교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아시아스포츠법의 비교연구가 앞으로 어떠한 과제를 안고 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문제 역시 아시아법학연구자들의 협력과 연대를 통하여 새로운 아시아스포츠법학을 정립하고 아시아스포츠법의 조화와 통일을 이루어 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번에 창립된 아시아스포츠법학회의 활성화를 통하여 많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아시아스포츠법학을 연구하고 연구자를 양성하는 연구ㆍ교육기관이 필요하다고 본다. 대학이나 국책 연구소 등이 설립되어야 한다. 물론 아시아법학비교연구를 위한 인적ㆍ물적인 지원체계가 먼저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아시아스포츠와 스포츠법령정보센타의 구축도 필요하다. 앞으로 <아시아연합> 또는 <아시아경제사회공동체> 같은 기구의 탄생을 준비하고, 아시아스포츠의 교류와 협력을 위한 민간기구와 국가 간 기구의 창설을 위한 협약연구도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21세기에 접어들어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세계화, 국제화의 흐름 속에서 아시아의 종교, 윤리, 도덕 등의 전통적인 규범을 바탕으로 아시아법의 새로운 체계 정립이 필요한 것이다. 아시아스포츠법도 이러한 아시아의 정체성에 바탕을 두어 세계적인 스포츠 규범과의 조화와 통일을 이루는 방향으로 학제적, 지역적, 국가적 연대와 협력으로 연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As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ports is up and coming, the different aspects of sports law are focusing. Korea, China and Japan are giving more attention to this ever increasing phenomenon. As a result, these countries are recognizing, discussing and coping with the inevitably arising dissonances that are and will continue to occur as the field of sports law makes its way into the Korean scene. To have an exchange among different cultures that supercedes language, religion and policy is vital to the success of mutual understanding in all areas. The World Cup of 2002 held by Korea and Japan is a wonderful example. This event significantly affected the sports industry, and, in turn, sports law and policy. Another example is the Asian Games, which now open biannually and contribute to a wider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Now that there is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these events, it is essential that we begin to develop a more concrete legal framework for how they should be managed. To advance from this grassroots level of understanding in the area of sport law in Korea, it is vital that we take a look at various legal systems that have more sports laws in place and analyze them to see what aspects of those systems might be suitable or adaptable to our own needs.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establish the necessary directions for Asian sports law as follows. First, I have discussed the need for definition in Asian sports law. Second, regarding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y do we need comparison between Asian sports law?” I have demonstrated the reasons: interchange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Asian sports; the study of the Asian legal system; settlement of the Asian law and legal system and unification and harmony in Asian sports law. Third, I have examined, “What is the task for comparison between Asian sports law? It should be the same answer above Second. I would expect a lot of achievement from activation of an Asian Sports Law Association formed at this time. Lastly, I suggest founding a research and education institute to study Asian sports law and to cultivate specialists of it. I recommend establishing a college or research institute by national policy. But the first consideration is a support system for funding and human resources. In addition, an Asian sports and sport law information center are required. We should prepare for not only a “united Asia” or an “Asian economic social community” but also private and governmental organizations for interchange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ports. As we stand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in the flow of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western” law invades into Asia. Asia needs in particular new Asian law based on traditional Asian religion, ethics and morals. Asian sports law should be enacted in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and harmonization all over the world based on Asia`s autonomy and by academic, regional and national links and co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