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천식 환아에서 메타콜린 기관지 과민성의 추적 관찰
Changes in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n Children with Asthma
김건하 ( Gun Ha Kim ) , 서강진 ( Kang Jin Seo ) , 변정혜 ( Jung Hye Byeon ) , 송대진 ( Dae Jin Song ) , 유영 ( Young Yoo ) , 정지태 ( Ji Tae Choung ) , 고영률 ( Young Yull Koh )
UCI I410-ECN-0102-2009-510-020181965

목적: 아토피성 천식 환아와 비아토피성 천식 환아에서 천식 치료 후 기관지 과민성을 측정하고, 기관지 과민성의 변화와 관계된 요소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5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소아 알레르기 크리닉과 서울대학교병원 소아 알레르기 크리닉을 방문하여 혈액검사, 피부단자시험, 메타콜린 유발시험을 시행 후 기관지 천식으로 진단받은 7세 이상 소아 중에서 진단 이후 6개월에서 1년 동안 크리닉을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흡입용 스테로이드와 류코트리엔 길항제 등으로 치료 받은 후 1년 후에 폐기능 검사,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시험, 피부단자시험 및 알레르기 염증 지표들에 대한 혈액 검사를 반복 시행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는 총 45명으로 나이(중간값, 범위)는 아토피성 천식(37명)이 10.1년(6.6-15.2), 비아토피성 천식(8명)이 9.7년(6.9-14.7)이었으며, 규칙적으로 흡입용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환아는 아토피성 천식군 86.5% (32/37), 비아토피성 천식군75.0% (6/8)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아토피성 천식군에서 진단 시와 추적 검사 시 메타콜린 PC20의 기하평균(1 SD의 범위)은 각각 2.20 mg/mL (0.41-11.82)와 6.69 mg/mL (1.25-35.87)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혈청 IgE치는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고[459.6 IU/mL (79.1-778.5) vs. 332.1 IU/mL (61.2-599.8)], 말초혈액 총 호산구수[324.8/?L (136.1-550.9) vs. 256.0/?L (101.8-442.8)]와 혈청 ECP값[47.8 ?g/L (11.4-57.2) vs. 18.9 ?g/L (5.7-39.5)]은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비아토피성 천식군에서는 FEV1의 정상 예측치에 대한 비율(92.9±11.4% vs. 98.3±6.6%)은 진단 시에 비해 추적 검사 시에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나, 메타콜린 기관지 과민성과 혈중 호산구성 염증지표의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아토피성 천식군의 메타콜린 기관지 과민성의 변화는 평균 1.533 배가선량(DD)으로 비아토피성 천식군의 0.056 DD 보다 크게 나타났다. 결론: 아토피성 천식 환아들에서 스테로이드 및 류코트리엔 길항제 등으로 천식 치료 1년 후에 측정한 기관지 과민성은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이는 기도 염증의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비아토피성 천식 환아들은 치료 후 폐기능의 호전은 있었으나 기관지 과민성과 호산구성 염증 지표들은 감소하지 않았고 따라서 비아토피성 천식 환아의 기관지 과민성은 기도 염증 이외에 다른 유전적 요소나 기도 개형과도 같은 요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total IgE, blood total eosinophil counts and serum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after treatment with inhaled corticosteroids or leukotriene modifiers in children with asthma. Methods: Methacholine bronchoprovocation tests were repeated at 12 months of follow-up in 37 children with atopic asthma and eight children with non-atopic asthma, who regularly attended the Allergy Clinic of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over one year from their initial visit. A serum total IgE, peripheral blood eosinophil counts, and serum ECP levels were measured on their initial visits and at 12 months of follow-up. Results: Following six to 12 months of inhaled corticosteroids or leukotriene modifiers treatment, the geometric mean (range of 1 SD) of methacholine PC20 was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atopic asthma group [2.20 mg/mL (0.41-11.82) vs. 6.69 mg/mL (1.25-35.87), P=0.000] but not in non-atopic asthma group [2.41 mg/mL (0.90-6.42) vs. 2.46 mg/mL (0.62-9.78), P=0.065]. Blood total eosinophil counts and serum ECP levels decreased significantly over one year in atopic asthma, while these changes were not observed in non-atopic asthma. Significantly higher FEV1 %predicted values (98.3±6.6%) were noted at 12 month follow-up compareed to the initial values (92.9±11.4%, P=0.023) in the non-atopic asthma group. Conclusion: Inhaled corticosteroids or leukotriene modifiers treatment resulted in a significantly decrease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n children with atopic asthma. This effect was reflected primarily by reduced blood eosinophilic inflammation. The persistence of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n children with non-atopic asthma might be related with genetic factors or airway remodeling other than eosinophilic inflammation.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7;17:196-205]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