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9
216.73.216.9
close menu
한국인 여성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의 유병률과 위험요인: 지역사회 단면연구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and Osteopenia in Korean Women: Cross-sectional Study
최지엽 ( Ji Yeob Choi ) , 한소희 ( So Hee Han ) , 신애선 ( Ae Sun Shin ) , 신찬수 ( Chan Soo Shin ) , 박수경 ( Sue Kyung Park ) , 조성일 ( Sung Il Cho ) , 강대희 ( Dae Hee Kang )
UCI I410-ECN-0102-2009-510-020182982

연구목적: 우리나라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골다공증과 골감소증의 유병률 및 위험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5개 지역에서 40세 이상의 중년여성 2,12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종골과 요골원위부의 골밀도는 이동식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법 기계로 측정하였다. 서울 근교의 일개 검진센터를 방문한 20∼39세 여성 293명의 골밀도 값을 측정하여, 본 연구의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기준인구집단 (reference population)으로 사용하였으며, WHO의 기준 (1994)에 따라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을 진단하였다. 설문조사는 훈련된 면접자에 의한 면접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정상군을 기준으로 골감소증군과 골다공증군의 위험요인을 순위로짓회귀모델 (unconditional polychomous logistic regression model)에서의 교차비 (odds ratio) 및 95% 신뢰구간 (95% CI)으로 평가하였다. 결 과: 2000년도 전국 여성 인구 자료를 이용하여 골다공증과 골감소증 유병률을 연령 표준화하여 구하였다. 40세 이상에서 종골과 요골원위부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각각 22.5%, 14.8%였으며, 골감소증 유병률은 각각 33.0%, 20.2%였다. 서울의 골다공증 유병률이 서울외지역보다 낮게 조사되었으며, 종골과 요골원위부의 골밀도 (BMD)는 연령, 체중, 폐경 상태에 대한 보정 후 서울외지역에서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두 측정 부위에서의 낮은 골밀도는 연령 증가, 저체중, 그리고 폐경 후 상태가 관련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음주 상태 (≤1/month vs. never, >1/month vs. never)는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의 보호 요인으로 독립적으로 작용하였으며, 고학력수준, 낮은 초경 연령은 종골에 대한 골감소증과 발병 위험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결 론: 한국의 중년여성에 대한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 유병률은 아시안 인종의 유병률과 비슷하고, 코카시안 인종보다는 높게 조사되었다. 연령 증가, 저체중, 그리고 폐경 후 상태는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의 주요 위험요인임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and the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and osteopenia among middle-aged Korean women. Methods: We recruited a total of 2,123 women aged 40 years and older in four rural and one urban area. The bone mineral densities in calcaneus and distal radius were measured by a portable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pDXA). Two hundred and ninety three women aged 20∼39 years who participated in a regular health check-up were used as a reference population. Osteoporosis and osteopenia were defined by WHO criteria. Information on potential risk factors for osteoporosis was collected by an interviewer- administered standardized questionnaire. The Odds ratios (ORs) of risk factors were calculated by unconditional polychotomous logistic regression models. Results: The standardized prevalence of osteoporosis of 40 years or more was 22.5% for calcaneus and 14.8% for distal radius using the Korean population of year 2000 as a standard population. The standardized radius. Alcohol consumption (≤1/month vs. never, >1/month vs. never) was independently protective factor for osteopenia and osteoporosis of both calcaneous and distal radius and higher education level and early age of menarch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 risk of osteoporosis of calcaneous.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nd osteopenia in Korean women was similar to those in other Asians but higher than those in Caucasians. Older age, lower weight and menopause were three major risk factors for osteoporosis and osteopenia among Korean wome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