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9
216.73.216.9
close menu
KCI 등재
중국 정보통신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Factors Influencing on the Progres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China
정명기 ( Myeong Kee Chung ) , 황진영 ( Jin Young Hwang ) , 권세혁 ( Se Hyug Kwon )
경상논총 26권 3호 149-165(17pages)
UCI I410-ECN-0102-2009-320-008926295

본 연구는 지난 30여 년 동안 압축성장을 통해 산업의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는 중국을 대상으로 인터넷 및 이동통신이용률 등으로 대표되는 정보통신기술의 확산과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 분석하는데 있다. 중국정부는 2000년대 들어 경제성장을 주도할 핵심산업으로 정보통신산업을 집중 육성한 결과 정보통신기술의 사회적 확산도 매우 빠르게 진전되었다. 인터넷 보급률을 보면 2002년 3.6%에서 2007년 12.3%로 지속적으로 성장하였고 이동전화 가입자 수도 1999년 백명당 3.42대에서 2007년 10월 현재 25.76대로 약 8배 증가한 5억 3144.7만 명에 달해 세계최대 통신시장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정보통신기술산업의 생산품과 소득의 측면에서 경제성장이 빠른 지역과 그렇지 못한 지역 간의 정보통신기술의 확산 속도는 격차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주성분분석으로 성별 정보통신기술 발전지수(ITP)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ITP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추정하기 위해 2002년과 2006년 중국 31개 省別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지역소득, 인적자본, 정부정책, 개방도와의 관련성을 관측하였다. 통합한 최소자승법(Pooled LS)을 이용한 패널분석 결과 중국의 省別 정보통신기술 발전에 소득수준, 개방도 및 정부정책은 대체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 인적자본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이는 중국이 기술의 건너뛰기 전략(leapfrog strategy)을 구사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특수성으로 이해된다.

The electronic information industry has been the pillar industry of China`s national economy. In terms of its status in the national economy, the total output value of the electronic information industry increased an annual average rare of 30 percent from 1997 to 2003. This far exceeds the growth rate of the gross domestic product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dustry economic value added increased from 2.3 percent of GDP in 1997 to 6.9 percent in 2003. ICT industry export value reached US $ 227 billion in 2003, and with 33 percent of national exports; China`s exports of ICT industry are already the second highest in the world. Based on ICT industry trends, the author analyzes the development of ICT in China and its level within provinces of country. The leve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has become a barometer of regional economic growth. Using 2002 and 2006 cross regional data, this paper explores the determinants of ICT progress in China. First of all, with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we capture the source of variation that these five indicators of technological outputs: PC, mobile phones, internet host, fax machines and television. It provides an Index of Technological Progress which indicates that regional disparities of ICT. Further, this paper estimates the determinants of ICT, using pooled least squares method. We foun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growth of GDP, openness and state policy and ICT progress. It is also found that a region with a higher level of human capital accumulation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ICT progress. However, besides the contribution to empirically knowledge, we found an important implication here. That is, Chinese leapfrogging strateg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gional disparity persists. Hence China`s ICT policy is expected to induce new industry and social policy under the circumstance of post-WTO member.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