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이쑤시개에 의한 십이지장 천공과 동반된 간농양 1예
A Case of Liver Abscess Associated with Duodenal Perforation by a Toothpick
박상준 ( Sang Jun Park ) , 이창구 ( Chang Goo Lee ) , 김상억 ( Sang Eok Kim ) , 김정현 ( Jung Hyun Kim ) , 이광희 ( Kwang Hee Lee ) , 김기용 ( Ki Yong Kim ) , 윤진우 ( Jin Woo Yun ) , 김선영 ( Sun Young Kim )
UCI I410-ECN-0102-2009-510-00869137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이물질을 장관 내로 삼키는 경우는 흔한 일이다. 이들의 대부분은 별다른 합병증 없이 자연배출 된다. 78세 여자가 1주일 간의 고열, 오심 및 구토로 본원을 방문하여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내시경 검사에서 이쑤시개가 십이지장 구부에 끼어있는 소견이 보여 내시경적으로 이쑤시개를 제거하였으며 이쑤시개에 의한 십이지장 천공이 의심되어 시행한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십이지장 구부 주위에 공기음영과 간농양 소견이 함께 관찰되었다. 간농양 배농액의 세포학적 검사에서 유황과립을 관찰되어 간 방선균증으로 진단하였다. 방선균증은 방선균에 의한 유황과립 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화농성 육아종성 질환이며 충분한 기간 동안의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 저자들은 이쑤시개에 의한 십이지장 천공과 동반된 방선균에 의한 간농양을 진단하고 농양의 배농과 적절한 항생제 투여에 의해 성공적으로 치료된 1예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The ingestion of foreign bodies into the gut is rather common. Most these foreign bodies are passed out spontaneously without complications. Our patient was hospitalized for fever, nausea and vomiting for one week. On the initial endoscopic examination, a toothpick was seen to be impacted in the wall of the duodenal bulb. Air bubbles were noted at the site where the toothpick was removed. The duodenal perforation was treated with endoscopic hemoclipping. Abdominal CT showed free air in the periduodenum and there was a liver abscess. Therefore, liver abscess associated with duodenal perforation by the toothpick was diagnosed. On the cytology of the aspirated materials from the liver abscess, sulfur granule formation was noted and hepatic actinomycosis was diagnosed. The liver abscess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CT-guided abscess drainage and antibiotics. We report here on an unusual case of a liver abscess associated with duodenal perforation by a toothpick, along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