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KCI 후보
경골 고평부 골절에서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한 골절 행태 및 연부조직 손상의 평가
Evaluation of the Patterns of Fractures and the Soft Tissue Injury Using MRI in Tibial Plateau Fractures
전지용 ( Ji Yong Chun ) , 박희곤 ( Hee Gon Park ) , 황성수 ( Sung Su Hwang )
UCI I410-ECN-0102-2009-510-008720853

목적: 경골 고평부 골절에서 단순 방사선 사진과 MRI에서의 골절 형태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골절 형태와 동반된 연부조직 손상을 평가하여, MRI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골 고평부 골절로 MRI를 시행하였던 68예를 대상으로 단순 방사선 사진과 MRI에서 Schatzker 골절형, 관절면의 함몰, 골절편의 전위를 비교하였고, MRI에서 슬관절부의 연부조직 손상을 조사하였다. 결과: 단순 방사선 사진의 Schatzker 골절형이 MRI에서 변경된 경우가 7예 있었으며 관절면의 함몰은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평균 2.93 ㎜, MRI에서 평균 4.28 ㎜로 1.35 ㎜ 증가되어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p<0.05). 골절편의 전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168). MRI에서 인대 및 반월상 연골 손상은 58예 (85.3%)에서 발견되었다. 결론: 경골 고평부 골절에서 MRI는 추가의 골절선이나 함몰을 발견할 수 있어 골절 분류가 바뀔 수 있고, 관절면의 함몰과 연부조직 손상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여 수술적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경골 고평부 골절 시 수술 전에 MRI를 시행하는 것이 보다 나은 골절 치료와 연부 조직의 치료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To compare information about fracture type in MRI with simple radiograph in tibial plateau fractures and evaluate tibial plateau fractures type and accompanying soft tissue injury, and evaluate usefulness of MRI in tibial plateau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Compared MRI with simple radiograph about Schatzker classification, depression of articular surface and displacement of bone fragment from the 68 examples who checked MRI and we evaluated soft tissue injury around knee joint. Results: There were 7 examples of Schatzker type change after MRI check. Average depression of articular surface in simple radiograph was 2.93 ㎜ and 4.28 ㎜ in MRI. It in creased by 1.35 ㎜ and it was meaningful statistically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RI and simple radiograph of displaced bone fragment (p=0.168). There were 58 (85.3%) cases of soft tissue injury in MRI. Conclusion: MRI can find additional fracture line or articular depression that can`t be found in simple radiograph and gives more information about articular depression and soft tissue that is useful in surgical plans. I think preoperative MRI is necessary to better treatment of fracture & treatment of periarticular soft tissue injury in tibial plateau fract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