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기술가치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w Technology Valuation Method
윤관호 ( Kwan Ho Yoon )
세무회계연구 22권 121-148(28pages)
UCI I410-ECN-0102-2009-320-008914622

산업의 고도화와 지식기반경제의 도래와 함께 기술가치의 평가, 특히 첨단기술의 경제적 가치평가(technology valuation)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의 가치를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지표로 측정하는 일은 본질적으로 매우 어려운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술가치 평가기법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기술가치 평가의 속성상 평가기법에 있어서 최적의 접근법(best approach)으로 인정되고 있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고, 현재 기술가치 평가기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나 앞으로도 최적대안이 도출될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지금까지 논의된 다양한 방법들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살린 복합적 모형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기술가치 평가기법은 이해가 쉽고 측정이 간단한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기술성과 시장성의 영향관계 분석을 토대로 기술성 요소는 시장성의 모수(parameter) 또는 가중치(weight) 등의 역할을 하고 궁극적인 화폐가치는 시장성 요소의 합 또는 곱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함수(function)로 도출됨이 바람직하다. 넷째, 기술가치평가를 위한 기술성 및 시장성 요소간의 중복(redundancy)을 최소화하여 요소간의 독립성을 가능한 한 유지하여야 하며, 각 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엄밀화 하여 평가자가 이해하기 용이하여야 한다. 다섯째, 필요한 정보를 평가자가 제공하는 정보와 피평가자가 제공하는 정보로 양분하여 구성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새로운 기술가치 평가기법은 모듈에 기반하여(module-based) 자동화(computerize)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에서는 기존의 기술가치 평가기법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후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을 뿐이며, 새로운 기법의 개발에는 다가가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본연구의 한계점이 있다. 앞으로 새로운 기법의 개발에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 new technology valuation method which is easy to understand and apply. In addition, the method is designed to generate monetary value, rather than score or rank, of technology. To this end, I first have reviewed a variety of previous valuation methods and identifie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m. Based on the analysis, I have proposed the overall framework and detailed procedure of a new valuation method. In doing that, I have emphasized the following factors. First, the new method is applicable to high-tech areas, rather than traditional manufacturing sectors. Second, the proposed method analyz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arket value and technology value and integrate them into valuation process. Third, the new method takes idiosyncratic characteristics of various industrial sectors into account. Fourth, the method is designed to generate monetary value, instead of score or rank. Fifth, the whole process of valuation is module-based where respective modules focus on specific functions but, as a whole, constitute a systematic framework. Sixth, the set of input data comprises two parts, a sub-set provided by individuals or organization to be evaluat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