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많은 연구자들이 학습자들의 일상적 생활세계에 토대를 둔``사적 지리``를 중심으로 한 (지역)지리교육 내용과 과정의 새로운 틀을 강력히 제기해 왔다. 하지만, 생활세계 자체가 점차적으로 미디어 네트워크와 시각적 이미지들로 채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학습자들의 사적 지리는 이념적으로 중립적이거나 순수할 수 없으며, 상업주의적 시각적 이미지들로 재현된 그리고 학습자들의 실존적 삶에서부터 탈맥락화된 ``상상적 지리``의 영향을 받는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자신과 사회에 대한 비판적 사고가 정지해 버리고, 단지 소비를 통해만 자아를 실현하는 Marcuse의 ``일차원적 인간``으로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과 현실상황에서 본 논문은 오늘날 기술주의와 소비주의의 이데올로기 망에 위치하는 일상적 생활세계의``사적 지리``를 ``상상적 지리``가 아니라 ``비판적 지리``를 통해서 바라 볼 수 있는 중심적 위치에 학교 지리교육이 위치해야 할 것을 주장한다.
Recently, many researchers have strongly suggested the new framework of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with reference to the learners` ``private geographies`` grounded on their everyday life worlds. However, in the situation that the life world itself is increasingly filled with media networks and visual images, the learners` private geographies cannot be ideologically neutral or innocent and are more and more influenced by ``imaginative geographies``, represented as visual images combined with commercialism and decontextualized from the learners` existential lives. As a result, the learners are rendered ``one-dimensional men`` in Marcuse`s terms, who are unable to think critically of themselves and their society, only being interested in self-realization through consumption. In this question and context, this paper argues that geography education in schools needs to be located where the learners can see their ``private geographies``, which are on the ideological web of technology and consumption, not through ``imaginative geographies`` but through ``critical geographies``.